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아교사의 놀이성 척도는 이순행, 이희연과 정미라(2018)의 한국판 성인놀이성 척도를, 놀이신념 척도는 이성희(2008)의 척도를, 교수창의성에 대한 척도는 백영숙과 김희태(2008)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연구대상은 P, K, Y시(군)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29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VIF 지수를 통해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경로분석, Bootstrapping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성, 교수창의성과 놀이신념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이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기에,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놀이성과 교수창의성을 높이는 적절한 교사 교육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rea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 The instruments were, the Korean version of the adult playfulness scale of Lee Soon-haeng, Lee Hee-yeon, and Jeong Mi-ra (2018), the play belief scale of Lee Seong-hee (2008)'s scale, and the professor's creativity scale of Baek Young-sook and Kim Hee-tae (2008) scale. The study subjects used 293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P, K, and Y cities. For the collected data, multicollinearity, Pearson's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calculation, path analysis, and VIF index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playability, professor creativity, and play belief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professor creativit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ability and play belief. Since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is a factor influenc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appropriate teacher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to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layfulness and teaching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