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동일은 1960년대 말부터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연속성이라는 문제의식 아래 한국문학의 전통을 주체적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계급의식과 민중의식의 성장을 심화시켜 현실참여문학의 가능성을 타진했다. 이는 「한국소설의 이론」(1977)부터 『제3세계문학연구입문』(1991), 『하나이면서 여럿인 동아시아문학』(1999)에 이르기까지 한국학의 총체적인 시각을 지향하는 ‘하나이면서 여럿’이라는 그의 관용구에 잘 드러나 있다. 서구중심주의와 자민족중심주의를 동시에 극복하면서 한국문학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시도 속에서 ‘지방문학’의 재발견되었다. 그것은 보편/특수의 위계를 전제로 지방문학=민족문학의 보편성을 재탈환하려는 야심찬 기획의 시작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세계문학의 하위범주로서 ‘지방문학’을 특화하려 한 조동일의 이론과 실천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1960년대 한국학 연구의 붐이 조성되는 제반 조건―인물·사건·담론·(지원)제도― 등을 분석했다.


From the end of the 1960s, Jo Dong-il reconstructed the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subjectively under the consciousness of the continuit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deepened the growth of class consciousness and public consciousness,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ory literature. This is the concept of 'one and many', which aims for a holistic view of Korean studies, from 「Theory of Korean Novel」(1977) to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ird World Literature』(1991), 『East Asian Literature that is One and Many』(1999). It is evident in his idiom. 'Local literature' was rediscovered in an attempt to elevate Korean literature to a world-class level while simultaneously overcoming Western-centrism and ethnocentrism.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was the beginning of an ambitious plan to recapture the universality of local literature = national literature on the premise of universal/special hierarchy. Under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Jo Dong-il's theory and practice, which tried to specialize in 'local literature' as a subcategory of world literature,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is, various conditions for the boom of Korean Studies research in the 1960s - characters, events, discourse, (support ) system, etc. were analy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