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벤야민의 에세이 「괴테의 친화력」을 ‘대위법’이라는 음악의 개념으로 독해하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먼저 글의 1부에서는 소설가와 비평가 사이에 형성된 ‘친화력’의 성격에 대해 살펴보고, 2부에서는 벤야민이 시도했던 독특하지만 실패한 변증법적 구조와 그 내용을 살펴본다. 벤야민은 예술작품의 진리내용과 사실내용을 아우르는 비평의 개념을 테제화하고, 동시대의 전기적 비평방식을 안티테제로 세워 비판함으로써 예술비평의 전범을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비평적 기획과 괴테의 소설이 보여준 결말이 ‘보다 나은 것’으로 지양되는 변증법적 종합에 체계적으로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고, 애초에 구성했던 글의 목차를 지우는 선에서 공식 출판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 에세이에서 발견된 작품과 비평의 변증법적 도식의 불일치가 그 자체로 문학작품의 가치나 비평가의 능력을 의심하는 것과는 무관하다. 오히려 벤야민의 글이 전개되는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비체계성이야말로 변증법의 외부에서 변증법을 사유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 혹은 메시아주의와 역사철학을 ‘종합’하고자했던 독특한 역사유물론의 출현을 예비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이 글의 3부에서는 ‘변증법적 도식’이라는 철학의 체계 바깥에 있는 음악의 ‘대위법적 리듬’에 따라 벤야민의 「괴테의 친화력」에 주목할 것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ad Walter Benjamin's essay Goethe's Affinity through the concept of 'counterpoint' in music. First, I argued that Benjamin appropriated the concept of “affinity” for his own art criticism and he valued the interaction between a writer and a critic as a production of “affinity” while criticizing a biographical approach toward a writer. Secondly, I proposed that Benjamin’s initial efforts for a dialectical structure resulted in the discontent with its “synthesis,” which Goethe had also echoed in his novel. Due to such a discord, Benjamin had to abandon the system for his essay which had been expressed as the table of contents. However, I’d like to suggest such a theoretical trajectory as a process to form “dialectics outside dialectics,” which nurtured Benjamin’s unique “synthesis” of Messianism and philosophy of history. I concluded that Benjamin's Goethe's affinity adopted a 'counterpointal rhythm' to refashion dialectics for his unique art critic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