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본 논문은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치매 예방과 삶의 통제력 확보를 위해 자기돌봄의 특성과 자기돌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제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총 1,432명의 인지기능저하 노인 특성을 살펴보고, 인구사회학적, 관계적, 경제적, 건강 및 기능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자기돌봄의 영향요인을 서열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자기돌봄 특성과 자기돌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인지기능저하 노인들의 경우,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관련하여 성별, 최종학력, 근로유무, 거주지역, 모임참여횟수가 자기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및 기능관련 변인에서는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과 우울증 유무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기능저하 노인 집단의 퇴화 또는 노쇄 속도를 늦추기 위해 자기돌봄 특성과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정책과 자기돌봄 지원 서비스 및 프로그램 설계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elf-care behavior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factors affecting self-c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1,432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presente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were classified into demographic, socioeconomic, relational, health and functional factors using the 8th Aging Research Panel Survey.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characteristics of self-care and factors affecting self-care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gender, final education, working status, residential area,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social clubs affect self-care. In health and functional factors, it was found that difficulties in daily life due to pain and the presence of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elf-care and factors affecting it in the elderly care policy to slow the rate of deterioration or labor reduction of the elderly group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