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nglish writing assignment that analyzes cultural areas such as film, TV shows, literature, or social media as a viable path for students to establish self-authorship through their own research writing projects. This article introduces an example where I implemented cultural analysis in my first-year composition class conducted at an R1 research university in the U.S.A. Studies on self-authorship allow us to understand that what is needed for students to produce an original research writing project is a perceptual shift: knowledge can be constructed without depending on external authorities. Through the example, this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rely less on secondary sources and fulfill their original research projects because, in cultural analysis, their interpretations of primary materials were the backbone of their writing. Cultural analysis can also be utilized as a learning model for EFL students to acquire academic English writing.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연구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면서 자기주도감을 확립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방식으로 영화, TV 프로그램, 문학작품, 소셜 미디어 등의 문화 영역을 분석하는 영어 글쓰기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필자가 미국의 한 리서치 중심 대학에서 수행한 1학년 글쓰기 수업에서 문화 분석을 실시한 사례를 소개한다. 연구 내용: 자기주도감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독창적인 연구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려면 외부의 권위자들에 의존하지 않고도 지식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개된 예시를 통해 문화 분석은 1차 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해석 자체가 글의 근간이 되었기 때문에, 해당 수업의 학생들이 2차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독창적으로 연구 과제를 수행할 수 있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결론 및 제언: 문화 분석은 EFL 학생들이 학술 영어 글쓰기를 습득할 수 있는 하나의 학습 모델로도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