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이 연구에서는 이야기 중재와 관련된 국내 연구 문헌을 대상으로 이야기 평가, 이야기 중재 방법, 대상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이야기 중재 방법과 효과에 대해 살피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야기 중재, 이야기 다시 말하기, 이야기 평가’ 등 키워드로 검색하고 논문의 선정 기준에 맞추어 최종 39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대상 분석, 중재 방법 분석, 중재 평가 및 결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대상 분석 결과, 총 39편 중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장애유형의 경우 자폐스펙트럼장애를 다룬 연구가 15편으로 가장 많았다. 중재 방법에서는 상황 이야기를 중재 방법으로 한 연구가 15편으로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언어의 의미적인 영역을 종속변수로 포함한 연구가 14편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및 제언: 이야기 중재 및 평가와 관련한 연구를 통해 이야기 중재는 아동이 이야기를 논리적으로 표현하기 시작하는 학령 초기 언어 수준 아동에게 특히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야기 중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언어의 의미, 화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구문 등 다양한 영역에서 효과 있는 중재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thods and effects of narrative intervention by analyzing the evaluation, narrative intervention technique, and subject of intervention, targeting domestic research literature related to narrative intervention. In the online database, total 39 studies were fin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our study after searching for keywords such as ‘narrative intervention, story retelling, narrative evaluation’. As analysis methods, object analysis, intervention method analysis, intervention evaluation/result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subjects, among the total of 39 studies, 20 studies targeting lower grades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In addition, 15 studies dealing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among 39 papers. Finally, studies that included the semantic domain of language as a dependent variable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with 14 studies. Through research related to narrative intervention and evaluation, it can be seen that this method is effective for children at the language level of the early school age who begin to express stories logically. In particular, narrative intervention was often used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smooth communication amo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mong various disabil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is an effective inversion method in various areas such as syntax as well as semantic and pragmatic aspects of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