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디지털 민족지 연구 방법을 활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현지들을 조사한 연구 사례들을 방법론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재구성해서 이것이 가진 함의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방법: 디지털 민족지 연구 방법에 커다란 방향성을 제시한 디지털 민족지 연구자인 존 포스틸의 현지 조사 문헌들을 연구 상황과 맥락을 고려해 재구성하고, 여기서 나타나는 디지털 민족지 방법론의 구체적인 과정과 내용을 살펴본다. 연구 내용: 존 포스틸이 오프라인 시대에 만들어진 기존 현지조사방법론을 어떻게 확대해서 온라인 시대의 현지조사에 적용하고, 구체적으로 수행하였는지 살펴보고, 이것이 가진 가능성과 함의를 살펴본다. 결론 및 제언: 민족지 연구 방법은 장소와 문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행위자들의 감정과 감각 그리고 지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프라인 시절에 만들어진 민족지 연구방법론은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면서 현지와 행위자를 연구하기 위해 새롭게 확대 개편할 필요가 있다. 연구자마다 상황과 환경 그리고 주제 등에 따라 민족지 방법론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데, 이들이 제시한 주요 사례들의 방법론을 분석함으로써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민족지 조사 방법론을 체계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reconstruct ethnographic research cases that investigated online and offline sites, an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digital ethnography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Two leading ethnographic researchers suggested a new ways and direction in this area. This paper reconstructs John Postill’s field research methodologies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and context, and analyzes its specific process and content. This paper examines how these researchers modified and expanded the existing field survey methodology and applied it to field research, and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that this presents to local research. Digital ethnography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not only places and cultures, but also the emotions, senses, and knowledge of various actor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ethnography created in the offline era needs to be newly modified and expanded to study local and actors as it enters the digital era. Each researcher uses various ethnographic methodolog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environment, and subject. By analyzing the methodologies of the main ethnographic cases they presented, it is possi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systematizing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thnographic survey method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