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근로를 준비도 차원을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성별에 대한 차이의 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법을 사용했고, 성별과 연령대의 복합적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MANCOVA를 사용했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기술 준비도 차원의 측정지표를 사용하여 원격근로 환경을 위한 준비도 차원을 식별함과 동시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론 및 제언: 선행연구와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원격근로를 위한 준비도는 유용성, 긍정성, 관계품질, 불안감, 보안성 등 5개의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불안감과 보안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소속부서(영업 vs. 고객사 근무)와 같이 근무 환경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지 않은 한계점이 있으며, 이를 추후 연구에서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mension of readiness for teleworking and to examin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ANC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omplex effects of gender differences. We adopted the technology readiness dimensions to identify the readiness dimensions for the teleworking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We found that readiness dimensions for remote work are classified into five dimensions: usefulness, optimism, relationship quality, discomfort, and security. As a result of analyzing gender differenc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comfort and security. However, this study that it does not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functions (sales vs. customer support), a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in a futur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