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이 학년 변화에 따라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를 분석하여 상호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 ‘중1 패널’ 자료를 선택하여 1차(중1), 3차(중3), 5차(고2) 자료를 사용하였고 최종 연구대상은 2,351명이었다. 세 개의 변인, 세 시점에서의 상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세 시점에 걸쳐 자아존중감,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의 자기회귀계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자아존중감, 또래애착 간의 교차회귀계수를 살펴보면 이전 시점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이 이후 시점의 또래애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없었고, 이전 시점의 또래애착이 이후 시점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및 제언: 세 변인 중에서 자아존중감이 원인변인이 되어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치고 또래애착은 다시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학교생활적응도 마찬가지로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mutual causal relationship by analyzing how adolescents’ self-esteem, pe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aptation inter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grade change. To this end, the first, third, and fifth data were selected from KCYPS, and the final study subjects were 2,351. In order to analyze each other’s interactions during the three points of time of the three variables, it was analyzed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model’. As a result, the auto regressive coefficients of three variable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over the three points. Looking at the cross regressive coefficient between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at the previous time had an effect on peer attachment at the later tim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variables that affected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at the previous time affected school life adaptation at the later time. In conclusion, it was found self-esteem became the cause factor, affecting pe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influenced school life adaptation again, and school life adaptation also affected peer attac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