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국내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중재된 우울 감소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살펴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국내 문헌을 검색한 후, 총 4,598편의 문헌을 확인하여 선정기준에 맞는 20편의 문헌을 최종적으로 R-언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중년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해 중재된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8801이었다. 프로그램별 효과크기는 심리・명상적 요소 기반, 육체 치유 기반, 육체 기반, 육체・명상적 요소 기반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명상적 요소 기반 프로그램은 육체 기반과 육체・명상적 요소 기반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우울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시 인지적, 정서적 요소는 물론 명상적 요소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meta-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size of depression reduction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in Korea. We searched domestic literature, identified 4,598 studies, and analyzed the final 20 studies using the R-language program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The estimated overall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depression for middle-aged women was 0.8801. The effect sizes of the four program types were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meditation-based, physical healing-based, physical-based, and physical meditation-based programs. Psychological meditation-based programs are statistically more effective than physical-based and physical meditation-based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program developers include cognitive, emotional, and reflective elements in their programs to improve depression for middle-aged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