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연구(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 PSKC) 자료의 12차시(육아정책연구, 2019년) 자료 중 초등 고학년(4~6학년) 아동 1,226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한 사교육 이용 개수와 사교육 부담감이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 고학년의 인식한 사교육 이용 개수를 살펴본 결과, 1~10개 사이였으며 평균 2.76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아동이 사교육을 2개 383명(31.2%), 3개 276명(22.5%), 1개 252명(21.0%), 4개 150명(12.2%) 순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사교육을 5개 이상 이용하고 있는 아동도 전체 아동 중 10%가 넘었으며 최대 10개의 사교육을 받는 아동도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는 사교육 이용 개수와 관련이 없었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는 아동이 인식한 사교육 부담감과 관련이 있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는 사교육 이용 개수와 관련이 없고, 대신 아동이 인식한 사교육 부담감과 관련이 있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사교육을 몇 개 수강하는가에 대한 사교육 개수 보다는 아동 스스로 본인이 받고 있는 사교육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가 더 중요한 요인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아동의 성적과 부모의 성취압력,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통제한 후에도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는 사교육의 개수가 아닌 사교육 부담감에 의해 설명되었다. 아동이 인식한 사교육의 부담감과 사교육 이용 개수가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 본 연구는 사교육을 이용하고 있는 주체자인 아동의 관점에서 사교육과 학업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다루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number and burden of private tutoring, and their academic stress. Data were drawn from the 12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and a sample of 1,226 upper elementary students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used an average of 2.76 private tutorings (range 1-10), the usage of two private tutorings being the highest amongst the range. Second, academic 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burden of private tutoring, whereas the number of private tutoring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hird, the burden of private tutoring influenced academic stress,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variables well-known to be associated with academic stress (i.e. academic achievement,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resilience). The present study reveals the relative importance of children’s perception on private tutoring over the mere number they take. Th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it was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who are the actual agents of private tuto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