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6~18세기 유럽 선교사의 한어 학습사에 관한 고찰을 통해서 새로운 연구영역인 ‘한어 교육사’의 개척을 타진함과 동시에, 동아시아 초기 ‘한어 신학(한어 선교 신학)’의 성립을 이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그 논지 전개는 선교사 한학의 관점에서 명말시기 중국에 최초로 정착한 예수회 선교사 미켈레 루지에리(Michele Pompilio Ruggieri, 羅明堅, 1543~1607)가 수행한 한어 학습의 구체적인 상황과 그 성과를 살펴보는 데 맞춰졌다. 이 논제는 동아시아 국가들이 모두 우수한 전통문화를 동아시아 공동문어인 한문 문헌을 통해 공유한다는 점에서 한어 교육사 개척에 유의미한 지적 영감을 제공해준다. 같은 맥락에서 예수회 선교사 한학자들이 주도한 적응주의적 ‘문서(문자)선교’는 한어 신학의 성립 과정과 겹친다. 따라서 루지에리가 남긴 한문 교리서 문헌과 기독교 시문 자료가 한어 신학의 효시를 이룬다는 사실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여기에는 루지에리가 실행한 합불合佛적 색채의 독특한 초기 적응주의적 전개 양상도 포함됨은 물론이다.


This study was prepared to examine the history of Chinese language learning by European missionaries in the 16th to 18th centuries.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Seek the pioneering of a new research area, ‘history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to understand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language theology (Chinese language missionary theology)’ in East Asia. From the perspective of European Missionaries’ Sinology, The development of the argument was aimed at examining the specific situation and achievements of Chinese language learning conducted by Michele Pompilio Ruggieri (羅明堅, 1543-1607), the first Jesuit missionary who settled in China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This theme provides a significant intellectual inspiration for pioneering the history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that all East Asian countries share their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s through the Classical Chinese, a common written language in East Asia. In the same context, the accommodationist ‘documentary (literal) mission’ led by Jesuit missionariy sinologists overlaps with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Chinese language theology. Therefore, it is noteworthy that the Chinese catechesis documents and Christian poetry materials left by Ruggieri form the beginning of Chinese language theology. Of course, this includes the unique early accommodationist development of fusion with Buddhism practiced by Ruggie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