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동북아시아’를 지리적 개념이나 지정학적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평화를 위한 사회적 상상으로서 구성하고자 시도한다. 기후변화나 생태위기 및 팬데믹같은 지구적 위기들 앞에서 현재의 국제정치질서는 대안을 모색하는데 무력하다. 이는 국제정치의 주체가 국가 혹은 민족 단위를 주체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나 민족의 이익을 놓고 모두가 무한경쟁을 벌이는 적자생존의 국제정치현실에서 우리는 지구 공통체의 공생을 도모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이런 국제정치현실에서 ‘동북아시아 공통체’(Northeast Asian Community)란 ‘동북아시아’ 지역의 폐쇄적 공동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범행성적 공생 네트워크 안에서 협력과 연대의 행위주체(agency)를 민족/국가를 넘어 재구성하자는 제안이다. 이는 민족/국가의 부정이나 비판이 아니라, 오히려 기후변화와 생태위기 등과 같은 행성적 위기들을 함께 극복하기 위해 인간중심적 정치적 행위자 개념을 넘어 비인간 행위자를 정치적 주체로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국제정치모델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상의 바탕에는 고통과 억압의 기억과 트라우마를 망각하지 않고, 그를 통해 ‘고통에-함께하는-열정’으로서 종교적 상상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놓여있다. 따라서 사회적 상상으로서 동북아시아의 도래가 구상되려면 종교적 상상력과의 만남이 근대의 지난한 역사적 트라우마로 얽힌 동북아시아에 필요하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종교는 치유와 화해의 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종교’를 제도권 종교로서가 아니라 ‘종교적인 것’의 발흥으로 이해한다는 것을 전제로 말이다.


This article is to construct Northeast Asia not as a geological or geopolitical concept but as an social imagery for peace. As we have experienced, the current international politics has failed to find alternatives relevant to the global crises such as the climate crisis, ecological disasters, the pandemic, and so on.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is failure lies in the fact that nation-state is set up for the agential subject of this international politics. Every nation-state as the subject of the international politics compete each other for their own national interests, and it is thus nearly impossible to talk about the symbiosis or sympoiesis of the planetary community. In such actuality of the international politics, Northeast Asian Community does not refer to any exclusivistic community of Northeast Asians only but rater to a planetary community network, in which they seeks to be agencies of cooperation and solidarity beyond the boundaries and walls of nation-states in Northeast Asia. It is not to deny the actualities of nationa-state in this region but to construct a new model of international politics to include nonhuman agencies as political subjects beyond the anthropocentric notion of human political subject in our common effort to overcome or stay with the global crises such as the climate change and ecological disasters. The bottom line of this way of thinking is our common recognition of religious imagination like com/passion without the trap of oblivion to forget the horrible memories and traumas of pain, suffering, and oppression in our pasts. Thus, in order to construct Northeast Asian Community as common social imagery to come, this paper argues that the Northeast Asia region entangled with their painful historical traumas in their modern colonial times needs some help from religious imaginations. for religion is the source of power for healing and reconciliation, only with the condition that the term ‘religion’ here refers to the concept of the religious, not to any institutionalized form of reli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