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메타버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었으나, 이는 갑자기 등장한 최신의 개념이 아니다. 1992년에 발표된 SF소설 <스노 크래시>를 통해 처음으로 등장한 메타버스는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3차원 공간으로서, 몰입감 내지는 현존감이라는 측면에서 종래의 온라인 게임과 차별화된다. 메타버스를 둘러싼 다양한 법적 쟁점이 논의되는 가운데 형사법 분야에서는 아바타의 인격권 인정 여부와 아바타를 매개로 한 성범죄나 스토킹 처벌 등이 문제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메타버스 내 법익침해에 대한 형법의 개입 가능성을 논하고, 가상주체에 대한 인격권과 형사책임에 관해 다루었다. 또한 성범죄와 스토킹 범죄를 중심으로, 현재 국회에 제출되어 있는 관련 법률안들을 소개하고, 범죄구성요건 및 법정형의 정비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한편 메타버스는 범죄의 플랫폼이자 형사사법 시스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수단으로도 기능할 수 있는바, 이와 관련된 쟁점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As the Covid-19 pandemic impacted people's lives around the world, interest in the metaverse has been increased in our society. However, the concept of metaverse is not new. The term was first coined in Snow Crash, a science fiction novel published in 1992. As a 3D space converging the virtual world and reality, metaverse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online games by its more immersive experience and sense of presence. While a variety of legal issues concerning the metaverse are being discussed, issues such as the recognition of the personality rights of avatars and the punishment of sex crimes or stalking are emerging in the criminal justice area. In thi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the criminal law’s intervention in the violation of legal interest in the metaverse, and examines the personality rights of virtual entities and crimin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focusing on sex crimes and stalking, this paper introduces relevant legislative bills submitted to the Parliament, and makes suggestions for the steps to improve the elements to constitute the crime and the statutory punishment. In the meantime, given that the metaverse can both be used as platform for crimes and serve as a mean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e paper also presents issues related there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