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뮤지컬 전공생의 음성위생습관과 한국판 가창자의 음성장애지수(K-SVHI)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음성위생습관과 음성문제 및 음성장애지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4년제 뮤지컬 관련 학과의 전공생 84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응답결과는 SPSS 28.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음성문제가 있는 집단은 27명(32.1%)이며 음성문제가 없는 집단은 57명(67.9%)이었다. 음성문제의 원인으로는 짧은 시간 동안(최근~1년 이내) 음성문제를 가진 집단은 기타(38.5%), 감기(23.1%), 모르겠음(15.4%)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장기간(1~3년 이상) 음성문제를 가진 집단은 노래연습(57.1%)과 과도한 대화(7.7%) 순이었다. 음성에 문제가 있다고 느끼는 그룹의 음성증상으로는 피로(n=22, 87.5%)와 간지럽고 숨이 막힘(n=9, 33.3%), 음역상실(n=8, 29.6%) 순으로 나타났다. 음성문제의 유무와 주당 노래연습시간 응답 범주 간에는 연관성이 있었으나(p<.05) 흡연, 음주, 카페인 섭취 습관과는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없었다. 또한 음성문제의 유무에 따라 K-SVHI의 점수에 차이가 있었으며 음성문제가 있는 집단이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K-SVHI의 하위영역인 신체, 기능, 감정 영역에서도 음성문제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결론: 음성문제는 가창 만족도와 신체, 기능, 감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음성문제는 노래연습의 과정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뮤지컬 연기 관련 종사자들의 노래연습 과정을 면밀히 분석하고 기기적인 검사를 통해 객관적으로 음성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광범위하고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measure the vocal hygiene habits and K-SVHI of musical theatre majors. Through this, the study analysed the relation and connection between voice hygiene habits, voice problems and K-SVHI. Methods: Offline and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84 students majoring in a four-year musical department. Respon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8.0. Results: There were 27 students (32.1%) who felt voice problems and 57 (67.9%) students without voice problems. The main causes of voice problem were something else (38.5%), cold (23.1%), and do not know (15.4%) in the group with voice problems for a short period of time (less than 1 year). While the most common cause was singing practice (57.1%) followed by excessive conversation (7.7%) in the group with long-term voice problems (1 to 3 years or more). The negative symptoms were fatigue (87.5%), tickling and chocking sensation (33.3%), and loss of range (29.6%).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voice problems and weekly singing practice time (p<.05).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K-SVHI score according to the voice problem status, and the group with voice problems had a relatively higher average score. There was also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voice problem status and the sub-areas of K-SVHI (p<.01). Conclusions: Voice problems directly affected singing satisfaction and physical, functional, and emotional area.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voice problems occur most often in the process of singing practice. Therefore, extensive and detailed research is needed to prevent voice problems and suggest solutions by closely analyzing the singing practice process of musical theatre actors and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