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외상경험 대학생의 정서조절양식에 따른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외상경험을 보고한 전국 대학생 358명이다. 연구방법은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과 팬텀변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정서적 자기노출은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만이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정서적 자기노출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외상경험 대학생의 정서조절양식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의도적 반추와 정서적 자기노출의 역할과 기능을 적용하고 활용 가능한 상담 개입과 조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ccording to the emotional regulation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traum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58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who reported trauma experiences.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and bootstrapping and phantom variables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only deliberate rumina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seeking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did not show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dispers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research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and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