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차원이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통합한 후 부모의 어떤 양육차원이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을 가장 잘 예측해 주는지, 연구특성(성별, 연령, 출판유형, 출판연도)에 따라 부모의 양육차원이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다층메타분석(A Multilevel Meta-Analysis)으로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의 자료는 2011년에서 2021년 8월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학술지 논문 159편, 학위논문 325편으로 총 484편의 논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부모의 심리통제, 거부적 양육, 강압적 통제, 비일관적 양육, 과보호 양육, 전제적 양육, 허용적 양육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실질적으로 높이고, 부모의 애정적 양육, 자율성 부여 양육, 행동통제, 권위적 양육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실질적으로 낮추어 기존의 개별연구에서 검증한 연관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부모의 부정적 양육차원(심리통제, 강압적 통제, 거부적 양육)이 중간 효과크기로 긍정적 양육차원보다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더 큰 관련성을 보여 부모의 따뜻하고 지지적이고 온정적인 양육이 미치는 효과보다 부모가 무심결에 행하는 부정적 양육태도나 행동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일으키고, 가속화시키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침을 확증시켜 주었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특성에 따라 부모의 양육차원이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조절효과를 보여 후속연구방향은 물론 청소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부모 양육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개입하는데 차별화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시켜 주었다. 본 연구는 출판편향에 미치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아 추정한 효과크기의 차이와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을 독립적이고 뚜렷한 개념으로 차원화하여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으로 살펴보아 후속연구 방향은 물론 교육과 상담 및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함의를 둔다.


A multi-level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parenting dimensions on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 extensive systematic search yielded 484 eligible studies (159 scholarly journal articles and 325 theses or dissertations) from January 2011 to August 2021. The “rma.mv” function of the “metafor” package in the program R studio (version 2022.12.0+353)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in the current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psychological control, neglectful, harsh control, inconsistent, overprotectiv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increased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showing small to medium effect sizes. In contrast,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ere decreased by affectionate, autonomy-granting, behavioral control, and authoritative parenting showing small to medium effect sizes. Harsh control, psychological control, and neglectful parenting were found to be the strongest associations with problematic behavior in adolescents. Several moderators were identified, including adolescents’ sex, age, sampling, publication status, and the year of publication. Publication bias did not appear to be a problem in the current study, supporting its validity. A key outcom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 that can be used to inform education, counseling, and policies, and to establish research directions, by dimensionalizing parenting as an independent concept and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impact on adolescents' internalization/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