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의 정보전달 능력을 비교하고 정보전달 능력과 비유창성 간의 상관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정보전달 능력은 정보전달량과 정보전달 효율성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표본은 CIU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어속도와 비유창성 빈도를 분석하여 비유창성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말더듬 성인 18명과 일반 성인 18명을 대상으로 독백, 연속그림 설명, 대화 과업에서 표본을 수집하였다. 총 CIU 수, 총 DCIU 수로 정보전달량을 구하고, 분당 CIU 수, 분당 DCIU 수 및 CIU 비율로 정보전달 효율성을 구하였다.구어속도는 전체 구어속도 산출 방법으로 구하고, 비유창성 빈도는 정상적 비유창성과 병리적 비유창성 모두 포함하여 산출하였다. 결과: 첫째, 말더듬 성인의 총 CIU 수 및 총 DCIU 수가 일반 성인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말더듬 성인의 분당 CIU 수, 분당 DCIU 수 및 CIU 비율이 일반 성인보다 낮았다. 셋째, 정보전달 능력과 비유창성의 상관관계에서 두 집단 모두 구어속도와 분당 CIU 수 및 분당 DCIU 수 간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말더듬 성인은 비유창성 빈도와 분당 CIU 수 및 분당 DCIU 수 간에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일반 집단은 비유창성 빈도와 총 CIU 수 및 총 DCIU 수 간에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결론: 말더듬 성인의 정보전달량과 정보전달 효율성이 일반 성인보다 낮았다. 말더듬 성인은 비유창성 빈도가 높을수록 정보전달 효율성이 높은 반면, 일반 성인은 비유창성 빈도가 높을수록 정보전달량이 적었다. 두 집단 모두 구어속도가 빠를수록 정보전달 효율성이 높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nformation-conveying ability of adults who stutter (AWS) and adults who do not stutter (AWN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information-conveying ability and disfluency. The information-conveying ability was classified into informativeness and efficiency of information conveyed. These samp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rrect information units. In addition, speech rate and disfluency frequency were analyzed.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8 AWS and 18 AWNS in monologues, continuous picture descriptions, and conversation tasks. The amount of information conveyed was calculated with the use of total CIUs and total DCIUs. Information conveyance efficiency was calculated with the use of CIUs per minute, DCIUs per minute, and percent CIUs. The speech rate was calculated as the overall speech rate, while the frequency of disfluency was calculated by including both normal and abnormal disfluency. Results: First, AWS had less total CIUs and total DCIUs than AWNS. Second, AWS had less CIUs per minute, DCIUs per minute, and percent CIUs than AWNS. Third, in both groups, speech rate, CIUs per minute, and DCIUs per minute had positive correlations. In AWS, the frequency of disfluency, CIUs per minute, and DCIUs per minute had positive correlations. In AWNS, the frequency of disfluency, total CIUs, and total DCIUs had negative correlations. Conclusions: AWS had lower ability to convey information than AWNS. AWS had a higher information conveyance efficiency with a higher frequency of disfluency. AWNS had a lower amount of information conveyed with a higher frequency of disfluency. In both groups, the faster the speech rate, the higher the information conveyance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