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21년 수립된 탄소중립정책에 관련해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 지각과 지각된 정책효능감이 정책지지 및 정책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아울러 이들 변인관계에 있어 정책리터러시(전통적・기능적・비판적)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성인 응답자 3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설문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탄소중립정책을 더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높을수록 탄소중립정책에 대한 정보 활용(기능적 정책리터러시)이 더 적극적이고 탄소중립정책에 대한 평가(비판적 정책리터러시)가 더 긍정적이다. 셋째, 응답자들의 탄소중립정책에 대한 지각된 정책효능감이 높을수록 탄소중립정책을 더 잘 이해하고(전통적 정책리터러시), 관련 정책정보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며(기능적 정책리터러시), 탄소중립정책의 유효성을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비판적 정책리터러시) 나타났다. 넷째, 정책리터러시의 세 가지 차원 중 응답자들의 탄소중립정책에 대한 평가(비판적 정책리터러시)가 긍정적일수록 탄소중립정책에 대한 지지가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응답자들의 탄소중립정책에 대한 지지가 높을수록 탄소중립정책에 대한 참여의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책리터러시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 지각과 정책지지 간의 관계에 있어 비판적 정책리터러시는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정책효능감과 정책지지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비판적 정책리터러시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탄소중립정책에 대한 정책공중의 지지와 참여에 관여할 수 있는 변인들의 고찰을 통해 정책소통의 방향성을 파악했고 향후 이러한 요인들이 탄소중립정책에 대한 소통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실무적인 방안을 제언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and perceived policy efficacy on carbon neutrality policy support and policy participation intention. It also tested a mediating role of policy literacy(traditional, functional and critical) in these relationships.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policy support. Perceived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was also positively related with functional and critical policy literacy. Perceived policy 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all three dimensions of policy literacy. The critical policy literac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olicy support, and policy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olicy participation intention. When testing for a mediating role of each policy literacy among perception variables and policy support, critical literacy showed partially mediating effects with perceived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and policy support in carbon neutrality. The critical policy literacy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perceived policy efficacy on policy suppor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dentifying important communication factors that can lead to public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the newly implemented complex carbon neutrality policy, includ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In the future, these factor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communication on carbon neutrality polic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Carbon Neutrality Policy • Policy Literacy • Perceived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 Perceived Policy Efficacy • Policy Support and Policy Participation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