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글은 사상전향과 반성의 글쓰기가 활발하게 진행되던 한국전쟁 시기에 자기 체험이 아닌 번역텍스트를 활용한 반공사상 입증의 유형이 있었음을 확인한 연구이다. 연구를 통해 잔류파인 김광주는 여러 매체 및 다양한 글쓰기 유형을 통해 자신의 반공주의를 적극적으로 천명하고자 시도했고 특히 공산당 여성고위간부의 중공 탈출기인 『나는 모택동의 여비서였다』를 번역하여 반공담론 형성을 위한 공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시도했음이 확인된다. 잔류파임과 동시에 대표적인 중국문학 번역가이기 때문에 김광주는 당시 사상 입증 요구를 이중으로 받는 처지였다. 이에 높은 반공적 색채를 갖고 있는 텍스트 『나는 모택동의 여비서였다』를 통해 반공주의자임을 천명하여 사상적 결백을 증명할 수 있었고 동시에 ‘좌경문학 번역가’라는 이름표를 제거할 수 있었다. 한편 해당 작품은 마오이즘의 형태로 중국화된 공산주의 사상을 직접 체험한 공산당 고위 간부의 증언 자료로서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공산당 언어는 물론 체제의 모순과 다양한 내부 문제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수준의 반공 텍스트로 구분된다. 한국어 번역을 통해 반공담론 생산 및 보급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책의 발간에 정치적 목적이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confirms that anti-communist ideology used translated texts during the Korean War, when ideological conversion and writings of reflection were actively progressing. Kim Gwang-ju, a translator of Chinese literature and a member of the Remainers, received double the demands to prove his ideology at the time. He was able to prove his ideological innocence by declaring himself an anti-communist through the anti-communist text <I Was Mao Zedong's Female Secretary>. The work describes the language of the Communist Party as well as the contradictions and various problems of the Communist Party system. Therefore, it was used as material for the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anti-communist discourse through Korean translation, and the publication of the book had a political purp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