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흑구는 1928년 도미(渡美)한 후 미국에서 6년을 체류하였으며 1934년 봄에 귀환했다. 문학을 연구하고자 태평양 넓은 바다를 건넜으며, 1929년 시카고 노스 파크 대학(North park College)에서 문학을 공부하고 1932년에는 필라델피아 템플 대학(Temple university)에 신문학과로 전학(轉學)했다. 이 글에서는 한흑구가 번역한 영미문학 작품을 살펴보고, 일련의 작품이 그의 문학관 정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문학작품 번역은 작품의 선별과 번역의 과정에서 역자의 문학관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으며, 일련의 활동은 한흑구의 창작과 작품세계의 근간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한흑구는 영문학을 미국에서 공부했으며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번역물은 언어를 옮기는 데서 더 나아가 20세기 초엽 식민지 청년이 체험한 세계 문학의 기류와 속성을 담는다. 일제강점기 식민지 청년의 미국 고학(苦學) 체험은 민족 문제를 세계사적 맥락에서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식민지 조선의 작가들이 일제의 억압으로 신음하는 민족의 고초에 초점을 맞추어 창작지평을 열어나갔다면, 미국으로 건너간 조선의 지식인은 약소 민족의 서러움을 기반으로 제국과 자본이 양산해 내는 인류 공통의 문제들을 목도한다. 그것은 문학이라는 특정 영역의 문제에 그치지 않으며 20세기 근대가 초래한 문명의 음화(陰畫)였다. 한흑구의 문학관은 미국체험에서 구체화되는데, 하버드 대학에 재직한 어빙 배빗(Irving Babbitt,1865~1933)의 인본주의에 깊이 매료되었다. 그는 배빗을 통해 20세기 인본주의의 흐름을 자각했으며 역사의 흐름에 따라 그것을 담아내는 문학의 양식 또한 변할 수밖에 없음을 직시했다. 한흑구가 번역한 영미소설은 존 골즈워디(1867~1933 John Galsworthy), 「죽은 사람 The Dead Man」, 셔우드 앤더슨(1876~1941 Sherwood Anderson)의 「잃어버린 소설The Lost Novel」이다. 두 편 모두 자본주의의 시대 인간 존립에 대한 문제성을 시사하고 있다. 한흑구는 미국에서 영문학을 공부하고 고학(苦學)하는 가운데, 조선의 비애를 객관화 했을 뿐 아니라 인류의 보편적인 문제와 조우했다. 제국의 힘과 그림자 모두를 직시하면서, 자본주의의 팽창과 그로 인해 초래되는 인권 유린에 주목했던 것이다. 그의 문학관은 보편적 인류애에 기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흑구는 도미(渡美) 시기뿐 아니라 귀환 후에도 자신이 습득한 영미문학을 고국의 독자들에게 선보임으로써 동시대 인류 보편의 문제를 함께 사유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했던 것이다.


Han Heuk-gu stayed in the United States for six years after studying in 1928 and returned in the spring of 1934. He crossed the Pacific Ocean to study literature, studied literature at North Park College in Chicago in 1929, and transferred to the Department of Newspaper at Temple University in Philadelphia in 1932.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English-American literature works translated by Han Heuk-gu and examined how a series of works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his literature. This is because the translation of literary works inevitably affects the formation of a literary view of the translator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translating works, and a series of activities form the basis of Han Heuk-gu's creation and the world of works. Since Han Heuk-gu studied English literature in the United States, his translation goes beyond transferring language and contains the atmosphere and attributes of world literature experienced by colonial youth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experience of colonial youth in the United States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ethnic issues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While colonial Joseon writers opened their creative horizons focusing on the hardships of the people moaning under Japanese oppression, Joseon intellectuals who moved to the United States witnessed common problems of mankind produced by empires and capital based on the sorrows of the weak people. It was not only a problem in a specific area of literature, but also a negative painting of civilization caused by the modern era of the 20th century. Han Heuk-gu's literature is embodied in the American experience, and he was deeply fascinated by Irving Babbit's humanism, who worked at Harvard University. He was aware of the flow of humanism in the 20th century through Babbit and faced up to the change in the style of literature that captures it according to the flow of history. The English-American novels translated by Han Heuk-gu are John Goldsworthy (1867-1933), The Dead Man, and The Lost Novel by Sherwood Anderson (1876-1941). Both suggest the problem of human existence in the era of capitalism. Han Heuk-gu not only objectified Joseon's sorrow while studying and studying English literature in the United States, but also encountered universal human problems. Facing both the power and shadow of the empire, he paid attention to the expansion of capitalism and the resulting human rights abuses. It can be seen that his view of literature has its origins in universal humanity. Han Heuk-gu provided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universal contemporary human problems together by introducing the Anglo-American literature he acquired to readers in his home country even after returning from studying abr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