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의 15-22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여 주 52시간 근무제시행이 임금 근로자의 근로시간과 건강 관리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전체 표본을성별 및 결혼 여부, 영유아 자녀 유무로 나누어 집단별 특징을 찾아보았다. 2018년7월을 기준으로 300인 이상의 사업체에서 근무하는 임금 근로자를 처치군으로, 100 인 이상 299인 이하의 사업체에서 근무하는 임금 근로자를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고정효과와 이중차분법을 통해 정책 효과를 분석하였다. 근로시간 감축 여부 분석에서 전체 임금 근로자, 기혼 남성, 미혼 여성의 표본에서 근로시간이 단축됨을 밝혔다. 정책 시행 이후 전체 임금 근로자 및 기혼 남성의 건강 관리 노력 및 정기적 종합검진 여부는 감소했으나, 운동 빈도는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This study mainly examined the effect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on workhour and healthcare using DID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ion by fixed-effect. We divided the sample each by sex, marriage, and child-rearing. The actual workhour reduction was observed in the total sample, married male, married male who does not rear child and unmarried female. Further, we analyzed the effect of workhour reduction on healthcare. While the total sample and married male showed less active healthcare, derived by decrease in health checkup, average monthly workout frequency increased when they raised a child. On contrary, unmarried female was indifferent in health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