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가구는 개인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사회적 조건이다. 가구형태별로 특정 가구원에게 경제적, 정서적, 도구적, 사회적 자원 등의 결핍이 발생하며, 이는 ‘우울’로 이어진다. 한편 ‘쉼’은 건강과 일상 영위에 필수적이며 사회적 맥락에 의해 구성되고 제약되는 자원의 성격을 가짐에도, 가구형태별로 불균등하게 분포하며 우울을 차별화하는 자원으로서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쉼과 건강 조사’의 만 20세~65세를 대상으로 가구형태별 우울에 대한 쉼 역량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쉼 역량은 우울과 부적 상관을 가진다. 성별 분석에서는 기혼 유자녀 여성은 부부 2인 가구에 비해 쉼 자율성, 쉼 수단 접근성과 전반적인 쉼 역량이 우울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Living arrangements can cause a lack of resources for certain household members, which causes depressive symptom. Although rest is essential for health, less is known extent to which rest, as a resource constrained by social context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Using the data from the Rest and Health Survey of Korean Society, we examined how rest capability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living arrangements and depressive symptoms. Results show that rest capability ha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depressive symptoms, but the association differs across living arrangements. Married women living with children had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depressive symptoms, partly due to their rest cap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