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향상이 직장과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자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5개 도시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기혼 보육교사 53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2019년 8월 1주부터 9월 2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은 가정생활 만족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가정 향상은 직정과 가정생활 만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이 직장생활 만족에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은 통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 지지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이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 지지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향상이 직장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자아탄력성, 배우자 지지,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향상이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배우자 지지,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직장과 가정생활 만족을 위해 바람직하게 대처하는 방안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Objectives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researching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resources of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and enrichment on the work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4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5 cities in Gyeonggi-do,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st week of August to the 2nd week of September 2019 through questionnaire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as found to have an negative effect on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work-family improvement was found to have an positive effect on work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Second, In the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effects on work-life satisfaction, the ego-resilience statistically functioned as a mediating role and it did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s on spouse support and social support. In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on family-life satisfaction,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and spouse support did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s. In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enrichment on work-life satisfaction, ego-resilience, spouse support, and social support do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s. In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enrichment on family-life satisfaction, ego-resilience, spouse support, and social support statistically have mediating effect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a plan to respond appropriately for the satisfaction of work and family life through effective management of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