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생명과학 학습에서 생물학 전공자와 비전공 대학생의 자기조절 과정에서 나타나는 뇌 활성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자기조절 과제는 생물분류 개념으로 생명과학 학습상황을 구현하였다. 대학생들의 뇌 활성은 fNIRS에 의해 측정되고 분석되었다. 동화 과정에서 양측 FP와 좌 DLPFC는 유의미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두 그룹은 동기부여 및 보상과 관련된 좌측 OFC 활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갈등 과정에서 왼쪽 DLPFC는 공통적으로 활성이 현저히 낮았으며, 두 그룹은 최근 메모리와 관련된 BA46과 장기 메모리와 관련된 BA47의 활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동화 과정에서 우측 DLPFC에서 유의하게 높은 활성이 공통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두 그룹은 우측 DLPFC와 우측 FP의 활성의 차이를 보였다. 이 영역들은 오른쪽 전두엽 영역에 있으며 생명과학 지식의 이해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 결과 생물학 전공 대학생과 비전공 대학생의 뇌 활성 패턴은 자기조절 과정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기조절에 대한 신경학적 연구를 추가로 제안하고 학교 환경에서 구성할 수 있는 시스템과 학습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brain activation that appears in the self-regulation process of biology major and non-major college students in life science learning. The self-regulation task implemented a life science learning situation with the concept of biological classification. The brain activation of college students was measured and analyzed by fNIRS. In the assimilation process, bilateral FP and left DLPFC show significant activation, and the two groups show a difference in the left OFC activation related to motivation and reward. In the conflict process, the left DLPFC shows significantly lower activation in common, and the two groups show a difference in activation between BA 46, which is related to recent memory, and BA 47, which is related to long-term memory. In the accommodation process, a significantly high activation was found in right DLPFC in common, and the two groups show a difference in activation between right DLPFC and right FP. These areas are in the right frontal lobe area and are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life science knowledg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brain activation patterns of biology major and non-major college students are different in the self-regulation process. In addition, we will propose additional neurological studies on self-regulation and present systems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can be constructed in school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