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형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동영상 등 교수학습자료에 대한 활용성을 조사하여 바람직한 지형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와 서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양적자료는 빈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분석하고, 질적자료는 범주화(Categorization)로정리하였다. 지형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경험한 지형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반응은 상반되었다. 지리 교사는 대체로 지형 교육을 좋아하고 자신감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들이 느끼기에 학생들은 지형 단원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도권 교사가 비수도권 교사보다 지형 단원을가르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형 교육에는 교과서보다 동영상 자료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이는 개념 이해와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에 근거하였다. 양적 자료의 분석 결과를 보충하기 위해 교사들이 인식하는 지형 교육의 제약요인과 대안에 대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교육과정, 학습자, 교사 측면에서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 측면에서 바람직한 지형교육을 위해서는 단원의 내용이 실생활과 연결되어야하며, 학습자 측면에서는 지형요소를 경험하고 접해볼 수 있는 학생들의 개인지리가 풍부할 때 학습이 용이하다. 또한, 교사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개념 이해와 흥미유발을 위해 지형의 형태와 형성 작용 사이의 상호관계를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과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교수학습자료의 개발과 확산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geomorphology education and the usa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effective geomorphology education. For this, questionnaire surveys and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and qualitative data were organized by categorization.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survey on geomorphology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nd students’ responses to geomorphology education were conflicting. Although most geography teachers had a high preference for the geomorphology unit and showed confidence in teaching, teachers answered that students’ reactions to the geomorphology unit in class were not favorable. Second, geography teachers in the capital region have more difficulty teaching geomorphology units than those in the non-capital areas. Third, geography teachers prefer video materials, including UCCs, rather than textbooks. They recognize that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help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landforms and motivate students’ interest in geomorphology education. To provide the interpretation of the quantitative findings,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Semi-structured questions about constraints and alternatives for geomorphology education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curriculum, learners, and teachers. In terms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geomorphology unit should be strengthened in connection with real life. Learning is much easier when the learner can experience the elements of geomorphology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m in everyday life; that is when the student’s personal geography is rich.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 accumulating research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eaching and learning is essential since geomorphology education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 shape of landform, its formation, a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m.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sprea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ch as simulation U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