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팟캐스트 ‘우사사’를 기획하고 제작한 경험을 제시하고 이를 검토함으로써 교육적 관점에서 문학이나 책을 다루는 콘텐츠 제작의 사례와 현황의 구체상을 공유하는 데 우선적 목적을 둔다. 국어(문학)교육 연구자들이 책 읽기를 생활화하는 문화를 전파하고 청소년들의 책 읽기에 참고가 될 만한 콘텐츠를 만들어 보려는 노력이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를 보이고, 그 과정에서 여러 고민과 협의를 통해 도달한 현재의 모습을 공유하고자 했다. 나아가 콘텐츠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문학교육의 융합적 실천이 갖는 의미나 그것이 제기하는 문제를 드러내고 검토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팟캐스트 ‘우사사’는 청소년들이 읽을 만한 좋은 책을 선정하여 추천하고 책의 내용과 성격을 요약적으로 제시하며, 책에 대한 감상과 해석을 나누는 책 대화를 통해 이 책을 읽고 어떤 생각을 나눌 수 있는지 예시를 제공한다. ‘우사사’ 참여자들은 다양한 차원에서 팟캐스트의 매체적 성격을 고려한다. 책 대화는 화제 중심으로 진행되며, 참여자들이 책을 읽고 협력적으로 의미를 구성한다. 이 책 대화는 상호성과 순환성을 가지고 있어 교육적이고 진정한 대화의 특성을 잘 갖추고 있으며, 학습자들에게 예시로써 기능할 수 있는 독서 대화의 형태를 보여준다. 독서 팟캐스트의 제작과 ‘우사사’가 보여주는 특징들은 문학교육의 내용과 방법, 문학교육이 지향할 문학 생활화의 모습에 대해 생각할 만한 문제들을 제기해 준다.


This paper presents and reviews the experience of planning and producing the podcast “Usasa” by sharing examples of the production of content dealing with literature or books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analyzing the cont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interpreting their meaning. It is thus intended to reveal and examine the meaning of the convergent practice of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problems raised by that practice, as well as to show how Korean language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ers are making efforts to spread a culture that makes reading a daily life activity and to create content that can be useful for getting teenagers to read books. The podcast “Usasa” selects and recommends good books for teenagers to read, and summarizes the contents and character of each book. It also provides examples of the thoughts that can be shared after reading each book through “book conversations” in which the readers share their appreci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book. Participants in “Usasa” consider the media nature of podcasts in various dimensions. The book conversation is centered on particular topics; participants read a book on the topic and cooperate in construing its meaning. The book conversation displays reciprocity and circularity, which by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rue educational conversation presents a good example for learners. The production of reading podcas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Usasa” raise questions to consider regard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literary educa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 literary life that literary education pur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