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95년 지방자치제의 시행과 함께 각 지역에서는 ‘지역 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역사문화자원들이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데 활용되었으며, 지역문화콘텐츠의 형태로 가공되어 대중들에 선보이게 된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두향’ 역시 충북 단양, 경북 안동 등에서 주요하게 지역문화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두향’은 그녀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지역문화자원으로 발굴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오로지 ‘퇴계’라는 대유학자의 ‘연인’으로 규정되며 하나의 역사인물로, 또 문화자원으로, 더 나아가 지역문화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게 된 것이다. 이런 두향의 지역문화콘텐츠화는 몇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18세기부터 문헌에 등장한 두향과 퇴계에 대한 언급은 소설가 정비석에 의해 사실화되는 과정을 거친다. 실제 기록을 통해 두향과 퇴계의 만남과 사랑을 특정할 순 없었지만, 소설가의 가필은 이들을 희대의 연인으로 만들어 낸다. 하지만 연구자들은 두향과 퇴계의 사랑이 사실이 아님을 밝힘으로써 허구의 역사임을 증명한다. 문제는 이 모든 과정이 두향이 아닌 퇴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두향은 그저 퇴계의 반사체로만 세상에 불리기도 하고, 또 부정되기도 한 것이다. 두향과 퇴계의 사랑에 대한 허구성을 학계에서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단양과 안동에서는 둘의 사랑을 사실로써 활용하고 있다. 로컬리티에 대한 욕망은 허구를 역사로 간주하는 것에 거리낌이 없게 한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전혀 다른 방향에서 제기된다. 언론이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두향과 퇴계의 사랑을 로맨스가 아닌 여성성 착취의 결과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문제제기 역시 현대의 여성주의적 시각을 위해 두향을 이용했다는 혐의를 지우기 어렵다. 두향은 그녀 자체가 가졌던 지역에 대한 사랑, 뛰어난 기예 등으로 평가받지 못하고, 영원히 다른 목적과 요구로 부름을 받고 있는 것이다. 결국 두향은 그녀에 대한 서사화와 탈서사화에서 배제된 채 존재하지만 존재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하겠다.


Each region is making efforts to find “regional identity”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1995. During this process, many historical resources were used to reveal the identity of the region. It will be processed and presented to the public in the form of local cultural contents. Duhyang, which is covered in this paper, is also being used as local cultural content in Danyang, Chungbuk, and Andong, Gyeongbuk.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Duhyang was discovered as a local cultural resource due to her own characteristics. She was only revealed to the world as Toegye’s lover. This regional cultural content of Duhyang takes place through several steps. The mention of Duhyang and Toegye, appeared in the literature from the 18th century, and is discovered by novelist Jeong Biseok. Although not recorded in actual history, he became a rare lover by a novelist. However, researchers find the romance untrue. The problem is that Duhyang is excluded from all these processes. Although it has been found to be false in academia, Danyang and Andong use it as a fact. The desire for locality has made it easy to regard fiction as history. However, the problem is raised in a completely different direction since the media defined the love between Duhyang and Toegye as exploitation of femininity, not romance. However, this is also seen when using Duhyang from the modern feminist perspective. Duhyang has never been evaluated for her characteristics. In the end, Duhyang existed but could not exist, excluded from the narrative and description of 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