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술적 글쓰기에 나타난 문장 오류가 유사 의미기능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의 의미`화용적 차이를 인지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한국어 연결어미의 의미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결어미 의미범주 중 비교적 단순한 의미인 [나열]과 [동시]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고’와 ‘-(으)며’, ‘-(으)면서’의 의미기능과 화용적 쓰임에 대해 살펴보면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고’는 가로 연결이라는 의미 구조를 가지고 있고 ‘-(으)며’와 ‘-(으)면서’는 세로 연결이라는 의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일정한 구문에서는 교체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절을 연결할 경우 ‘-고 –(으)며/(으)면서’ 구성과 ‘-(으)며/(으)면서 –고’ 구성은 다른 의미를 나타낼 때 쓰이기 때문에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서 이런 화용적 쓰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원인`이유]의 의미 기능을 갖는 ‘-어서’와 ‘-(으)니까’도 동기나 기회로 일회적으로 발생하는 [원인`이유]의 의미는 ‘-니까’로 쓰지만 정립된 [원인`이유]를 나타내야 할 경우는 ‘-어서’를 써야 하므로 학술적 글쓰기에서는 주로 ‘-어서’가 쓰여야 한다. 사전류에서 ‘-고’, ‘-는데’, ‘-다가’ 등에도 [원인/이유]의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상황맥락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기본의미인 [나열/시간선후], [배경], [전환]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interested in the sentence errors in foreign students’ academic writing. Such errors are caused by incorrect use of the connecting ending. Therefore, the semantic and pragmatic differences of Korean Connective Endings were investigated. Connective Endings “-go(-고),” “-myeo(-며),” and “-myenseo(-면서)” have similar semantic functions. Since “-go(-고)” has a horizontal semantic structure connection, while “-myeo(-며),” and “-myenseo(-면서)” have a semantic structure with vertical connection,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cannot be replaced in certain phrases. In addition, when three or more clauses are connected, the “-go(-고) -myeo(-며)/myeonseo(-면서)” and “-myeo(-며)/myeonseo(-면서) -go(-고)” composition are used to express different meanings; therefore, education on these pragmatic usages is necessary in academic writing education. “-eoseo(-어서)” and “-nikka(-니까),” both have similar meanings of “cause/reason”; however, they havea subtle difference in meaning. In “cause/reason” of a one-time occurrence, “-nikka(-니까)’”is used; however, if it is established, “-eoseo(-어서)” should be used. Foreign Korean learners must be aware of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se connective endings to avoid making incorrect sentences in academic wr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