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재분석은 재구조화의 비음운론적 기제 가운데 하나로 어떠한 변화를 음운론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할 때 동원될 수 있다. 이는 불명추론을 통하여 실현되며 이때 추론되는 전제는 공시 문법 내에서 유효해야 한다. 재분석은 그 자체만으로는 비가시적이며 계열적 유추 내지는 재분석된 대상을 청자가 발화함으로써 가시화된다. 화자가 발화한 음성형을 청자가 잘못 들었거나, 화자가 발화하고 청자가 청취한 음성형 자체가 본질적으로 애매하거나, 하나의 음성형에 대한 화⋅청자 간 내재적 문법이 다를 때 재분석이 발생할 수 있다. 국어 /ㅿ/ 말음 용언어간의 /ㅅ/로의 변화 역시 재분석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청자는 화자가 의도한 /ㅿ/ 말음 용언어간 활용형을 /ㅅ/ 말음 어간으로 재분석한다. 재분석의 방향은 자음어미 결합형에서 모음어미 결합형으로 진행된다. 이는 그 당시 본래 /ㅿ/가 출현해야 할 환경에 /ㅅ/가 출현하거나 Ø 등이 나타남으로 인하여 /ㅿ/의 기능부담량이 저하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Reanalysis can be used when phonologically explaining some sound change is impossible. Reanalysis is effectuated through abduction, assuming it has to be valid synchronically. Reanalysis is obscure because the sound pattern of speakers is the same as the one hearers perceive. When the sound pattern is inherently obscu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ound pattern among speakers and hearers, and there are multiple phonological interpretations, reanalysis can be used. A change in Korean word stems with the final voiced fricative /z/ in the 15th century is also able to be explained by reanalysis. When speakers spoke the stems with the final /z/, hearers could reanalyze the stem with the /z/ into the stem with the final /s/. This kind of reanalysis did not violate synchronic grammar at that time. The reanalysis is evidenced by the appearance of new conjugated f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