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明清两代, 教育重心有由官学向书院转移的趋势. 明前期官方构建了完整 的学校体系, 书院被排除在外;明中期以后, 地方官员、提学官开始寻求学校 之外培养人才的途径, 认可了书院“匡翼夫学校之不逮”的地位;清代雍正、乾 隆两朝, 官方对书院的支持促进了书院的发展, 随着书院在聚徒课士、膏火 养士等方面优势的凸显, 教育之重心逐渐转向书院, 以致产生了“教士之实, 莫如书院”的观念. 书院在整个教育系统中的地位及士人书院观念的变化, 不 仅影响到实践层面, 并最终影响了近代中国教育格局的形成.


During Ming and Qing dynasties, the focus of education tended to shift from state-run schools to academies. In the early years of Ming Dynasty, a complete school system was established by the authorities. However, the academies were excluded. And after the middle period of Ming Dynasty, local officials and Tixue(提學) began to seek some other ways to cultivate talents which were beyond the state-run schools, and recognized the status of academy as “supplementing the deficiencies of schools”. In Yongzheng(雍正) and Qianlong(乾隆) dynasties, the development of academies was promoted by the authorities’ support. With the prominent advantages of academies in gathering scholars and teaching scholars, the educational focus gradually turned to academies, which brought about the idea that “the reality of teaching in schools is inferior to academies”. The status of academy in the whole education system and the changes of scholars’ concept towards academy have affected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also influenced the formation of Chinese modern education pattern ultimately.


명-청대에 걸쳐 교육의 중심이 관학으로부터 서원으로 이행하는 추세가 발생하였다. 명대 전기에는 관방에서 완전한 학교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이에서원은 배척되었다. 그런데 명 중기 이후, 지방 관원과 제학(提學) 관원들이학교 외부에 인재를 배양할 수 있는 장소를 탐색하기 시작했고, 그들은 서원을 “학교가 미치지 못하는 부분을 보충하는(匡翼夫學校之不逮)” 역할을 할 수있다고 생각하였다. 청대 옹정(雍正), 건륭(乾隆) 연간, 관방은 서원을 지지하여 그 발전을 촉진하였고, 서원에서 생도들을 모으고 선비들을 가르치며, 배양하는 등 여러 우수한 성과에 힘입어 교육의 중심 또한 점차 서원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이로써 “선비 교육의 실질로는 서원 만한 곳이 없다(教士之實, 莫如書院)”라는 관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전체 교육 체계 가운데 서원의 지위 및 사인(士人) 서원에 대한 관점의 변화는 당시 교육 시행 차원에서도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근대 중국 교육 구조의 형성에도 영향을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