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910년대 이돈화의 ‘신종교’ 개념 제시 및 논의 전개를 기성종교와 공인종교에 대한 저항으로서, 천도교 주도의 종교적 주체 만들기 기획인 동시에 정치적 주체 만들기 기획으로 설명한 것이다. 1910년대 한국에서 유통된 ‘신종교’ 개념은 기성종 교와 비교해 ‘새로운 종교’라는 의미를 가지는 한편 정통성이 결여된 ‘이단’, ‘요설’이 라는 의미를 가졌으며, 총독부 종교정책 아래의 ‘종교유사단체’ 취급과 같은 선상에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돈화는 천도교를 ‘신종교’로 정의한 것인데, 거기에는 종교적 저항성과 동시에 정치적 저항성이 작동하고 있었다. 그의 신종교론은 구시대정신과 구종교를 주체적으로 비판하지 못하고 오히려 신종교를 배척하는 사람들의 인습적 주관을 적발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구시대의 타력적 신앙과 전제적 정치를 시대착 오적인 종교와 정치로 비판한 것이며 그로부터 탈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로부터 이돈화는 식민 당국의 이른바 ‘정교분리의 시대’의 허구성에 대항하기 위해 신종교가의 모습을 정교일치적 지배자로 요청한다. ‘신종교’가 종교와 정치에 관한 ‘새로운 가르 침’이므로 ‘신종교가’는 그 ‘새로운 가르침’을 체현하는 주체이다. 또한 ‘신종교가’는 단수가 아니라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활동하는 복수의 주체이다. ‘자기’를 타력적 신앙과 전제적 정치에서 해방시키고, ‘자기’의 권위와 가치를 회복시킴으로써 새로운 종교적·정치적 주체로서 ‘자기’를 세울 것을 주장한다. 각자가 모두 다 같이 ‘자기’의 가치와 권위를 회복하고, 권리와 자유를 향유하는 주인-되기. 그 실현을 향해 이돈화는 신앙의 방식과 활동의 혁신을 주창하며, 신종교로서의 천도교 기획을 추진한 것이 다. 그의 신종교 기획의 현장을 살피는 이 작업은 식민지 조선에서 천도교를 포함한 신종교가 가지는 독특한 위상과 의미, 그리고 그 종교적·정치적 주체의 가능성을 생각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This article explores Lee Donhwa’s theoretical approach to the new religions which arose in Korea in the 1910s. His intention was to create a religious and political subject, as exemplified by Cheondogyo, which would stand against established religion and authorized religion. In this period the concept of ‘new religion’ had three meanings: (1) a newly developed religion in comparison with established religions, (2) a heretical system which lacked legitimacy, (3) an organization with religious attributes to be reviewed by the religious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Against this context, Lee Donhwa defined Cheondogyo as a new religion in which religious resistance and political resistance could operate simultaneously. He sees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as a system invented and imposed by the colonial authorities, and calls for the unified rule of church and state. He understands new religion as a “New Teaching” on religion and politics so that the “New Religionist” is the subject which embodies this “New Teaching.” This “New Religionist” is not singular, but rather a plural subject which is active in all areas of society. Lee Donhwa argues for “self” to be established as a new religious and political subject by liberating “self” from blind faith and despotic politics, in order to restore its authority and value. This restoration is central to Lee Donhwa’s project for the new religion of Cheondogyo, through which anyone could become “Master of Self” and thus enjoy the corresponding rights and freedoms. This article examines his project to create a new religious and political subject, and also surveys the distinctive status and meaning of Cheondogyo and other new religions during the colonial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