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기업 지배구조의 관점에서 이사회 성별 다양성과 신용등급 및 신용등급 불일치의 관계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분석을 위해 2013년에서 2021년까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여성CEO 및 여성 임원의 비율 및 존재여부와 신용등급과의 관계 및 신용등급 불일치와의 관계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3대 신용평가회사의 회사채 신용등급을 사용하고, 이사회의 성별 다양성과 기업의 신용등급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해 도구변수를 사용한 2단계 분석방법을 사용한다. [연구결과]분석 결과, 여성CEO나 여성 임원의 비율이 높거나 여성CEO나 여성 임원이 존재하는 기업의 경우 여성CEO나 여성 임원의 비율이 낮거나 여성CEO나 여성 임원이 존재하지 않는 기업에 비해 신용등급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신용등급의 불일치는 덜 나타났다. 여성 임원의 존재 유무를 기준으로 표본수를 성향점수 매칭한 분석 결과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성별 다양성이 신용등급과 신용등급 불일치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기업지배구조 관점에서 설명하여 한정되어 있는 기업평가나 회사채 발행시장과 관련된 회계학의 연구 범위를 확장한다. 또한 본 연구는 여성임원의 선임 의무화가 시작된 시점에 여성 관련 연구의 범위를 지배구조와 연결하여 확장했다는데 공헌점이 있다.


[Purpose]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gender diversity of board of directors on credit rating and rating disagreement in terms of corporate governance. [Methodology]We test whether the ratio or presence of female CEOs and female executives is associated with credit rating and credit rating disagreement for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and the KOSDAQ market from 2013 to 2021. We use two-step analysis using instrument variable to control endogeneity that may exist between the gender diversity of the board and the credit ratings of the company. [Findings]We find that the ratio of female CEOs or female executives is higher, or that if female CEOs or female executives exist, the credit rating is higher and the credit rating disagreement is less. The results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based on the presence of female executives are similar. [Implications]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literature of corporate valuation or corporate bond issuance market by explaining the impact of gender diversity on credit rating and credit rating disagre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governance.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women-related research by linking it with governance structure at the time when the mandatory appointment of female executives be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