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Development’는 국내에서 개발과 발전으로 모두 사용된다. 하지만 개발과 발전은 그 사용과 의미가 다른 두 단어로 교육과 함께 이를 구분 짓지 않고 사용하는 것은 교육과 개발/발전의 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해 본 연구는 국제교육협력 분야에서 ‘개발’과 ‘발전’이 어떻게 구분되어 사용되는지 ‘교육개발’과 ‘교육발전’에 관한 국내 연구물을 통해 비판 적으로 검토한다. 연구의 중요성: 용어 선택은 그것이 지칭하는 대상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담아내는 문제로 개발과 발전의 사용 역시 그러하다. 교육은 그 내재적 속성과 외재적 속성이 모두 강조되는 분야로 개발과 발전 중 무엇을 사용하는지는 교육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을 대변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인식하는 국제교육협력의 과제와 교육의 역할에 깔린 접근 방식을 대조적으로 드러낼 것이다. 연구방법론: 국제교육협력 맥락에서 교육개발 및 교육발전에 관한 국내 24개 의 주요 연구물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물들은 개발과 발전 용어 사용 및 교육의 가치 차원의 의미구분을 두 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일차적으로 6개로 분류된 연구물들은 (1) 수단적 개발교육, (2) 발전 교육에서 교육발전으로, (3) 교육개발로 점철된 교육발전, (4) 고착화된 교육개 발협력의 네 가지 영역 안에 포진되어 있었다. 다수의 연구물들이 제3영역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접근에선 개발이 발전을 대체하는 개념으로 혼동될 수 있 다. 교육의 가치 차원에서 교육의 내재적 목적의 결과로 외재적인 가치가 따라 오는 것이 아닌 교육의 본질이 수단으로 한정되는 것이다. 교육이 개발과 함께 수단화되는 것은 교육의 대상 역시 도구화되는 것으로 이런 점에서 제1영역과 제4영역 역시 비판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결론 및 시사점: 이는 Yoo et al.(2019)의 “Education for Development”와 “Development as Education”의 패러다임과 일치하는 부분으로 교육개발과 상응하는 전자에서 교육과 개인은 경제성장이 수단이 되었다. 이는 발전의 문제가 경제학의 논리로 이해되면서, 윤리를 상실하고 역설적으로 저발전의 부작용을 탄생시켰다는 굴레 와 문제의식을 공유한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Development as Education” 즉, 인간의 발전을 목적으로 하고 경제성장을 수단으로 하는 교육발전 패러다임으로 이와 함께 발전의 윤리를 되찾고 인간과 교육 발전을 국제협력의 목적으로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Purpose: ‘Development’ is translated into ‘gaebal’ or ‘balgeon’ in Korean. However, if they are not differentiated when used with education, it muddles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how ‘gaebal’ and ‘balgeon’ are used i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by analyzing research on ‘education development’. Originality: The terminological choice is how to view the object referred to by each term, and so is the choice of ‘gaebal’ and ‘balgeon.’ In particular, education has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nature, and the usage of ‘gaebal’ or ‘balgeon’ represents our approach towar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trast the challenges and underlying approach to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Methodology: 24 research on education development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collected articles were analyzed on two axes: the usage of the term for ‘gaebal’ or ‘balgeon’ and the senses distinction reflecting the value dimension of education. Result: The research articles were primarily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which are located in four dimensions: Instrumental Development(Gaebal) Education; Developmental(Balgeon) Education toward Education Development; Educational Development(Balgeon) dotted with Education Gaebal; and Fossilized Education Development(Gaebal) Cooperation. A number of studies fall into the third area, where ‘balgeon’ is confused with ‘gaebal’, and the essence of education is limited to means. When education becomes means along with ‘gaebal’, education becomes a tool. Thus, the first and fourth dimensions also need to be reviewed. Conclusion and Implication: It coins with the paradigms of “Education for Development” and “Development as Education” by Yoo et al.(2019). The former corresponds to education development as ‘gaebal,’ in which education and individuals become means of economic growth. It shares Goulet's idea that development shrinks to economic growth, loses ethics, and paradoxically leads to underdevelopment. We need education development as ‘balgeon’ paradigm that uses economic growth as a means and aims for human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