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의 메타버스 교육에 대한 전략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충청북도에 거주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평생학습자 114명을 대상으로 학습 실재감, 몰입감, 흥미, 학습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외생변인으로서 학습 실재감, 내생변인으로서 몰입감, 흥미, 학습만족을 선정하였다. 또한 SPSS 21, Smart PLS 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에게 메타버스 플랫폼의 새로운 환경을 선택할 수 있는 디자인, 배경, 주변환경등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업과 관련된 간단한 퀴즈 등을 통해 아바타를 꾸밀 수 있는 크레딧의 제공을 통해 수업의 흥미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학습자의 교육 참여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에 대한 만족을 높여야 할 것이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 메타버스 평생교육 관계자에게 교육에 대한 전략과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es and implications for metabus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Methods For this purpose, 114 lifelong learners who use the metabus platform in Chungcheongbuk-do were tested to measure learning presence, immersion, interes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learning presence as exogenous variable, immersion, interest,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endogenous variable were selected, and SPSS 21 and Smart PLS 3.0 statistical program were us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background, and surrounding environment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to learners to choose a new environment of the metabus platform. Second, the interest of the class should be provided through the provision of credits to decorate the avatar through simple quizzes related to the class. Final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by providing various benefits when developing metabus education programs and participating in educ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trateg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to metabus lifelong education offic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