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후고구려와 궁예에 관한 한 『삼국사기』의 정보 범위를 뛰어넘는 국내 측 자료는 없다. 열전에 수록된 궁예의 전기는 개인의 일대기를 넘어서 후고구려 왕조의 역사이기도 하다. 따라서 궁예와 후고구려의 사적에 관심이 있는 자라면 누구나 궁예전의 기록을 분석・해석하고 이에 대해 의미 부여를 하여 이들의 역사를 복원한다. 그렇다면 궁예전 서두의 가계와 출생 관련 기록은 후고구려사 복원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일종의 관문이기도 한 것이다. 먼저 이 정보에 접근했던 다양한 시도들을 점검해보았다. 그 결과 그간 가계와 출생 정보를 놓고 크게 두 가지의 경향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료가 전하는 정보 범위 내에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각과 사료의 범주 밖에서 해답을 찾으려는 시각이 그것이다. 이를 ‘신라왕자설의 수용’과 ‘조작설의 제기’라는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궁예가 신라 국왕의 아들이라는 대전제 속에 헌안왕이나 경문왕 가운데 궁예의 아버지를 선택하는 관점이 전자라면, 이어지는 출생 관련 기록의 작위성・인위성 등과 결부되어 궁예가 신라 왕족 출신이라는 점에 동의하지 않는 것이 후자라 할 수 있다. 궁예의 부계와 관련하여 쟁점이 되는 부분을 차치하고, 우선 ‘정보 자체’의 문제에 집중해보았다. 『삼국사기』 편찬자들은 그들이 궁예의 전기를 세우기 위해 확보한 자료를 통해서는 헌안왕이나 경문왕 가운데 누구를 특정하기가 어려웠을 것으로 짐작하였다. 결국 충돌하는 궁예의 가계 정보는 『삼국사기』 이전부터 빚어졌던 혼선이 정돈되지 않은 채 『삼국사기』 단계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특히 궁예에 대한 사론의 주안점이 ‘종국’인 신라를 배반한 궁예에 대한 질타에 있으므로, 찬자들은 왕이 누구인지와 별개로 궁예가 ‘신라 왕족 출신’이었다는 점에 주목했다고 생각한다. 고려는 후고구려를 뒤엎고 출범한 나라이며 왕건은 궁예의 신하였으므로, 정권 수립의 정당성에 얼마간 흠결이 있었다. 따라서 이전 왕조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규명하기보다는 포폄을 통해 이들이 폄척되어야 할 이유를 강조하는 데 역점을 두다 보니, 『삼국사기』 단계에서도 착종된 정보가 별다른 점검 없이 계속되었다고 여겼다. 즉, 『삼국사기』를 포함하여 궁예의 출계와 출생 관련 기록을 전하는 자료들은 궁예의 부계 문제를 해결해야 할 특별한 계기가 없었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출생 정보에 담긴 자연현상으로서 ‘백홍’에 주목하였다. 왕거인이 남긴 시에 ‘백홍관일’의 대표 사례인 연단의 일화가 언급된 것을 통해, ‘흰 무지개’의 출현이 ‘구징’을 상징한다는 오래된 관념이 9~10세기를 향유한 신라인에게도 널리 알려진 사실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궁예가 태어난 날의 저 자연현상이 허구인지 아닌지를 현재 판별할 수는 없다. 다만, 예로부터 ‘불길한 징조’로서 ‘흰 무지개’를 동원하여 궁예를 제거해야 할 당위를 내세웠던 당대의 사유 방식과 정보의 형성 과정 및 내부 논리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궁예의 신라왕자설을 역사적 사실로 간주한다.


As far as Later-Goguryeo and Gungye are concerned, there is no literature data beyond the scope of information in Samguk-sagi. The biography of Gungye goes beyond a personal biography and is also the history of the Later-Goguryeo dynasty. Therefore, anyone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Gungye and Later-Goguryeo analyzes the records of Gungye’s Biography and restores their history by giving meaning to them. If so, the family and birth-related records at the beginning of Gungye’s Biography are also a kind of gateway to the restoration of Later-Goguryeo history. First, previous studies that have accessed this information were check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two trends. One view was to solve a problem within the range of information conveyed by the historical material, and the other was to find a solution outside the scope of the historical material. Under the great premise that Gungye is son of the Silla king, the former is view of choosing the father of Gung-ye among King Heonan or King Gyeongmun. The latter does not agree with the fact that Gungye is from the royal family of Silla, in connection with the integrity and artificiality of the subsequent birth-related records. Leaving aside the controversial part, we first focused on the issue of ‘information itself’.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for the compilers of Samguk-sagi to identify either King Heonan or King Gyeongmun through the data they obtained. In the end, the conflicting family information of Gungye should be viewed as continuing to the Samguk-sagi without any confusion that occurred before the Samguk-sagi. In particular, the main focus of the evaluation of Gungye was on criticizing Gungye for betraying ‘own country’[宗 國], Silla. Accordingly, I think the editors noted that Gungye was from the Silla’s royal family. Goryeo was founded after overthrowing Later-Goguryeo and Wanggeon was a servant of Gungye, so there were some flaws in the legitimacy of establishing the government. Therefore, rather than clarifying the historical facts of the previous dynasty, Therefore, rather than clarifying the historical facts of the previous dynasty, the focus was on emphasizing the reason why Gungye should be expelled, so it was considered that the information that was involved in the Samguk-Sagi continued without any inspection. In other words, there was no special opportunity to resolve Gungye’s family problem. Next, attention was paid to ‘White Rainbow’[白虹] as a natural phenomenon contained in the birth-related information.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the old notion that the appearance of a ‘白虹’ symbolized an ‘ominous sign’[咎徵] was also widely known to Silla, who enjoyed the 9th and 10th centuries. It is currently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at natural phenomenon on the day Gungye was born is fiction. Howeve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way of thinking at the time, the process of forming information, and the internal logic, which has been calling for the need to eliminate Gungye by mobilizing the ‘white rainbow’ as an ‘ominous sign’ since ancient times. In this context, it is regarded as a historical fact that Gungye was the prince of Sil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