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래, 공정 주장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여성주의적 비판도 개진되고 있다. 다만 작금의 논쟁은 절차적 이론에 기하여 공정을 좀 협소하게 이해하고 있는데, 이 글에서는 더 큰 범주인 정의의 맥락에서 응답하고자 리쾨르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주체를 ‘타자로서의 자기 자신’으로 보고 타자와 함께 좋은 삶을 추구할 역량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도가 필요하며 정의가 바로 그것이라고 파악하는 리쾨르는, 선물경제와 사랑에 의한 상호인정 및 공존을 말한다. 이때 정의는 호혜성과 대등만이 아니라 넘침에 기하여, 사랑과 변증법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사랑은 등가적 보복을 벗어나지 못한 황금률을 넘어, 대가 없이 관대하게 주고, 정의를 매개로 삼아 그것을 더 보편적이면서도 더 고유하게끔 한다. 즉, 서로의 존재 자체를 받아들여서 너그러움과 용서를 실천하며 더 관대하고 정의로운 제도 및 그를 새롭게 그리기 위한 상상이 필요함을, 아울러 타자 및 자신에 대한 배려와 성숙, 취약성 자체에 대한 책임이 작동되는 존재양식으로 정의를 이해해야 함을 이야기하였다.


Recent critiques of the fairness debate have focused on a narrow understanding of fairness based on procedural theory. This paper examines Paul Ricoeur’s theory in the context of a broader category of justice. Ricoeur sees the subject as ‛Oneself as Another’ and understands justice as a necessary system for realizing the capacity to pursue a good life with others, promoting mutual recognition and coexistence through the gift economy and love. From this perspective, justice operates not only in reciprocity and equality, but also in love and dialectic, based on overflow. Love goes beyond the Golden Rule of equal retaliation, gives generously without recompense, is a universal medium for justice. According to Ricoeur’s theory of justice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following: the affirmation of each other’s existence; the practice of generosity and forgiveness; a more tolerant and just system; an imaginative approach to the reform of the justice system; a mature understanding of ourselves and others;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vulnerability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