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조선조 후기에 새롭게 문예의 주요한 담당 층으로 등장한 서얼과 중인〔京衙前과 技術職 中人〕을 함께 묶어 새롭게 보자는 취지로 작성하였다. 기존 논의는 서얼 문학과 여항문학을 나누어 논의함으로써 당대 조선조 후기 사회에서 사대부와 상대적으로 같은 처지에 있던 이들의 사회적 위상과 문학적 지향을 함께 주목하지 못하고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하지만 서얼과 중인의 사회적 처지는 물론 그들이 생성한 문학적 성격은 사대부와 다르지만 이루어 놓은 성과는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서얼과 중인을 중간계층으로 묶고, 이들의 국내의 문예적 성취와 활동은 물론, 국외에서 문예와 관련한 활동과 성과를 확대해 고찰하였다. 그간 사대부를 중심에 두고 閭巷文學을 비교해 평가하는 것은 지나치게 일국적 시선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적지 않았다. 庶孽文學 역시 조선조 후기 사회에서 지나치게 국내적 시각에 사로잡혀 고립적 형태로 바라보는 문제도 있었다. 사실 일부 서얼은 중인과 같은 처지로 존재하고, 사회적 대우와 위상은 중인과 같았다. 그런 점에서 서얼과 중인을 하나로 묶어 중간계층으로 파악하여 그들의 문예적 성취를 일국 안팎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은 조선조 후기에 부상한 그들의 위상을 객관적으로 보려는 방법의 하나다.


This thesis describes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new perspective by tying ‘Seol(庶孼)’ and ‘jungin(中人)’, who emerged as the main class of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Specifically, the middle class was grouped into ‘earthly elders(庶孼)’ and ‘jungin(中人),’ and their literary achievements and activities were expanded to overseas as well as domestically, and the thesis was developed. This is becaus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evaluating ‘Yeohang Literature’ from a domestic point of view is too nationalistic.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o-Eol(庶孼)’ was in the same position as middle-class people, and their social treatment and statu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middle-class people. In this respect, ‘Seo-Eol(庶孼)’ and middle-in-class(中人) were combined into one and identified as the middle class, and their rising statu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objectively looked at. This is because their literary achievements achieved while participating in ‘Sahaeng(使行)’ can be evaluated histor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