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윤순은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중반을 살아간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관료이다. 이 글은 윤순이 평생 동안 관직생활을 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가 지녔던 사회적 관심과 현실참여 의식을 윤순이 남긴 문집인 '백하유고'와 '백하집'에 수록된 시 작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윤순은 사회에 큰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그의 대사회적 관심은 주로 농민들의 생활에 집중되어 있다. 더 나아가 백성들의 삶을 위태롭게 하는 사회적 문제를 고발하는 모습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윤순이 지녔던 현실참여 의식은 관직을 향한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욕망의 표출이 아니다. 주로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상황에서 느끼는 안타까움이나 자책, 정치에 비유할 수 있는 행위, 혹은 현실 정치가 지닌 문제에 대한 비판 등 주로 자신이 겪는 부정적인 상황 속에서 윤순의 현실참여 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당시 정계와 연관이 있을 것이다. 윤순이 관직 생활을 했던 시기는 노론과 소론의 갈등이 극에 달았던 때였다. 그러므로 그의 현실참여 의식은 부정적인 상황을 바라보는 과정에서 주로 비판적인 모습으로 드러난다고 여겨진다. 이상으로 윤순의 시를 통해 그의 사회적 관심과 현실참여 의식에 대해 확인해 보았다. 지금껏 윤순에 대한 연구는 서예 방면에서 국한되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윤순의 지닌 관료적 면모에 집중하여 그의 한시 작품을 통해 윤순이라는 인물의 내면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일정 정도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윤순 시가 지닌 문예미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Yoon Soon was the late Joseon literary figure and bureaucrat, who lived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Yoon Soon spent his life as a government official during his normal life, and it is a collection of Yoon Soon's thoughts on social interest and actual participation that he had. Yoon Soon had a great interest in the community. His interest in affairs was centered mainly on the people life. Additionally, he sometimes appeared to publicize social problems that threatened the lives of the people. Yoon Soon's consciousness of actual participation, was not a direct and positive expression of his desire for a government post. Yoon Soon revealed the reality of the injustice he experienced, such as the regret and self-blame he felt in situations where he could not show his abilities properly, behavior that can be compared to politics, and criticism of current political problems. The reason for this behavior is probably related to the political circles of the time. The period when Yoon Soon was in government service was a time when the conflict between the Noron parties and Soron parties reached its peak. Thus, it can be considered that his consciousness of actual participation was mainly a critical figure in the process of looking at the negative situation. Through Yoon Soon's poems, I have made an effort to confirm his social interest and his awareness of actual participation. Until now, research into Yoon Soon has been limited to the calligraphic field. However, this paper defines a certain significance in that it focuses on the bureaucratic aspect of Yoon Soon, and confirmed his inner side through his Chinese poetry works. I look forward to further research into the literary beauty of Yoon Soon's po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