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인천육군조병창의 흔적과 건물을 두고 철거와 보존 의견이 서로 충돌하고 있다. 이 같은 의견 갈등의 주된 요인은 일제강점기 부평 지역에 조성된인천육군조병창의 역사적 의미와 그 파급 효과 등에 대한 연구나 조사가 종합적인 시선에서 본격으로 다루어지지 않아왔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일제강점기 부평 지역에 들어선 인천육군조병창의 입지 배경과 주요 기능을당시의 관련 자료들을 중심으로 밝히는 한편, 오늘날 인천육군조병창이 갖는역사적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인천육군조병창을 구성했던 일부 건물의 보존과철거를 둘러싼 최근의 의견 대립의 해소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Recently, opinions on demolition and preservation are conflicting with each other over the traces and some of buildings of the Incheon Army Arsenal of Japanese Colonialism. The main reason for this conflict of opinions is that research or investigation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Incheon Army Arsenal and its ripple effects, which were created in the Bupyeong area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has not been dealt with in earnest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is study reveals the location background and main functions of the Incheon Army Arsenal in the Bupyeong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focusing on related data at the time, while exploring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Incheon Army Arsenal today to identify some of the buildings that made up the Incheon Army Arsenal. We tried to propose a solution to the recent disagreement over preservation and demol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