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칼빈이 “하나님의 나라” 혹은 “그리스도의 나라”에 대해 어떻게 이 해했으며 이를 특히 교회와 국가의 관계 문제에 있어 어떻게 적용했는 지에 대한 최근의 논쟁은 칼빈과 이후 개혁신학이 21세기 상황 속에서 어떤 의의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와도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논문은 반드루넨(David VanDrunen)의 『자연법과 두 나라』에서 제시된 칼빈의 정치신학에 대한 해석을 대화의 상대로 삼아 칼빈이 사용하는 용어와 그의 주장의 맥락과 의도를 되도록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 논문은 칼빈이 서로 다른 “두 나라”의 독자성을 주장하기보다는 유일한 왕이신 그리스도께서 통치하시는 “그리스도의 왕국” 을 강조했고, 그 왕국 안에 이루어지는 “영적인 통치”와 “시민적 통치”의 합당한 구별을 말했음을 증명하려 한다. 그리고 칼빈이 이와 같은 정치신학적 이해의 틀 위에서 교회와 국가가 서로존중하면서 이 땅 위에서 함께 그리스도의 통치권을 구현해야 함을 주장했음을 규명하려 한다 이. 분석과 평가를 위해 논문은 구체적으로세 가지 개념에 집중하여 『기독교강요 』를 중심으로 칼빈의 정치사상을 분석할 것이다 그것은 각각 “그리스도의 왕국 그리스도 ”, “왕국의 두 통치” 그리고 “두 통치의 기관으로서 교회와 국가”이다. 칼빈은 그리스도께서 다스리시는 한 왕국 안에 두 통치를 말함으로써 교회의 세속화와 세속 권세의 월권을 방지하려 했다 그의 정치신학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상황에 대해서도 몇 가지 의미를 갖는다. 첫째, 교회는 정치적 상황 속에서 교회와 성도들이 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성경적이며 신학적 기준을 제시하는 일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교회는 교회의 세속화를 끊임없이 경계해야 한다. 셋째, 교회는 현재의 시대 상황 속에서 종교개혁 시대 칼빈과 개혁자들이 주장했던 “섬기는 신학”을 회복해야 한다.


Recent debates about Calvin’s political theology concerning his idea of the Kingdom of God or Christ and its applic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has been closely related to significance of refor-med theology for the twenty first century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Calvin’s terms and arguments objectively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intention of his discussion. For this examination, David VanDrun-nen’s interpretation of Calvin’s Two Kingdom theory is taken as a dialo-gue partner. This study tries to argue that Calvin did not suggest the independent two kingdoms, but highlighted the Kingdom of Christ, who is the sole sovereign ruler. In Calvin’s theology, distinction between the spi-ritual and the civil governments is possible and meaningful only within Christ’s kingship. In this framework, Calvin’s argued that church and state, as the representative agents of each government, had to respect to each other and do their best to realize Christ’s kingship in this world. Three ideas in Calvin’s Institutes are focused in this study: Christ’s Kingdom, two governments in Christ’s Kingdom, and church and state as the agents of each government. Calvin tried to prevent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and arrogation of the state by underlining two distinct governments in Christ’s Kingdom. The twenty-first century Korean Church can find some lessons from Calvin’s political theology. First, the Church should try to pro-vide believers with the proper biblical-theological standard in the rapidly changing political situations. Second, the Church have to take heed of secularization in its worship and administration. Finally, the Church needs to recover the theology of servants in the current cultural atmosphere as Calvin and other protestant reformers have presented in the period of the sixteenth-century re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