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태평양전쟁 발발 직후, 연합군의 전황이 수세에 처함에 따라 아시아전투에서 중국의 역할이 강화되었으며, 장개석 국민정부는 중국의 지위가 격상된 기회를 이용하여 아시아 식민지 지역의 전후 처리를 주도하고자 했다. 1942년 4월부터 국민정부는 자신의 영향력 하에 있는 중경 소재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승인을 미국을 비롯한 연합국에 요청하였으며, 그 목적은 전후 한국에 대한 주도권을 선점하는 데 있었다. 전시 미국의 한반도 정책은 중국의 이러한 요구에 반응하는 과정에서 점차 형성되었으며, 미국은 한국의 독립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동의를 표하면서도 임시정부에 대한 승인은 거부하였다. 이는 전후 한반도 집권 세력의 성향을 결정지을 수 있는 임시정부에 대한 승인 문제는 소련과의 합의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1942년 하반기, 장개석은 스탈린그라드 전역에서 소련이 위기에 처한 상황을 이용하여, 임시정부에 대한 단독 승인을 시도하였을 뿐만 아니라 루스벨트에게 소련을 배제한 미·중 양국 공동 관리 하의 한반도 정책을 제안하기까지 하였다. 이러한 중국의 노골적인 소련 배제 요구에 미국은 장개석의 한반도 지배 야심을 경계하게 되었으며, 전후 한국이 즉각 독립될 경우 중국 연방제의 일원이 될 가능성을 우려하기에 이르렀다. 중국의 팽창주의에 대한 미국의 우려는 중국과 소련을 포함한 다자가 참여하는 국제 신탁통치의 결정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the importance of China on the Asian battlefield had greatly increased as Britain and the U.S. were on the defensive. The Kuomintang government took the opportunity of China’s rise in international status to try to dominate the issues regarding the independence of Asian colonies so as to ensure China’s leadership in Asia after the War. With regard to Korea, Chiang Kai-shek actively sought a commitment to Korean independence and recogni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Chungking by the Great Allied Powers, with the primary purpose of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Soviet-supported Korean group in postwar Korea. The U.S. policy toward Korea, in the earlier stages of the War, was gradually developed in response to these demands from China. Considering China’s active demands in Korea, the U.S. agreed to Korean independence but refused to recognize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The consideration of Soviet interests was the main reason why the U.S. refused. The U.S. thought that the Soviet Union also had significant geographical and historical interests in Korea and therefore believed that the Soviet Union would not be absent from the post-war negotiation table on the Korean issue. In late 1942, Chiang took advantage of the serious crisis in the Soviet Union during the Battle of Stalingrad to make more aggressive demands to Roosevelt to exclude the Soviet Union from the Korean issue. Chiang’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Korean issue alerted the U.S. to Chiang’s territorial ambitions for postwar Korea. This concern of the U.S. over Chiang’s expansionism added urgency to the decision of international trusteeship over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