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쉼터에서 생활하고 있는 가출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정 위험요인과 또래동조성이진로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과 귀인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전국 청소년쉼터에 입소중인 가출 청소년 280명이며, 이들 중 22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예비조사(n=70)를 통해 척도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재검증하였으며, 확증된 네 개의 척도를 이용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AMOS 23.0 프로그램에 기초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논의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도출하였다. 첫째, 가출 청소년의 가정 위험요인과 또래동조성은 진로 적응유연성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친다. 둘째, 가출 청소년의 귀인성향은 진로 적응유연성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친다. 셋째, 귀인성향은 가정 위험요인과 또래동조성 각각이 진로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있게 조절한다. 즉, 내적 귀인성향 청소년은 가정 위험요인이 높은 집단과 또래동조성이 높은 집단의 진로 적응유연성이 더 높으며, 외적 귀인성향 청소년은 각 변인이 낮을 때 진로적응유연성이 더 높은 상호작용을나타낸다. 가출 청소년의 진로지도와 정책 수립 등에서 청소년의 내·외적 귀인성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a family risk factors and a peerconformity on the career resilience, and the regulation effect of attribution disposition with anrunaway adolescents living at the adolescent shel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80runaway adolescents living at adolescent shelter in nationwide, 226 data of their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risk factor and peer conformity have significantinfluence on the career resilience. Second, attribution disposi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the career resilience. That is to say internal and external attribution each influence the careerresilience. Third, attribution disposition significantly regulate the influence of a family riskfactors and a peer conformity on the career resili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reerresilience is influenced by family risk factor and peer conformity, and internal·externalattribution disposition regulates the 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It implies that, for guiderunaway adolescents there is ne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resilience and toinclude attribution dis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