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가족의 죽음으로 인한 상실을 경험하고 창작한 내방가사를 대상으로 내방가사의 창작행위 자체가 애도의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구명하고, 이들 작품을 대상으로 애도의 방식과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세 이데올로기 하에서 자율성이 제한되어 있던 여성은 가문과 가족공동체와 분리하기 힘든 존재로서, 그들은 가문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했고, 공동체 구성원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이해했다. 그들에게 가족 구성원의 죽음은 관계성이라는 세계 인식의 틀이 와해되는 경험이었다. 본고는 가족 구성원의 죽음을 겪은 여성이 죽음에 대한 공포와 회의, 자신을 둘러싼 두려움의 감정을 어떻게 표출하는지, 또 와해된 세계를 어떻게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여 재구축해나가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애도의 단계를 구조화하여, 각 단계가 내방가사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애도의 과정은 ‘① 세계의 파괴, ② 감정의 표출, ③ 기억의 환기, ④ 저승의 수용과 위안, ⑤ 상실의 수용과 역할의 상기’의 다섯 단계를 거치게 된다. 내방가사를 창작하여 망자에 대한 감정을 표출하는 행위는 그 자체로 하나의 애도 단계이자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내방가사에서 애도의 다섯 단계가 선형적, 계기적으로 진행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상실을 수용하고 세계와의 관계망을 재구축하는 마지막 단계로 나아가는 흐름을 보이며 구조화되어 있었다. 3장에서는 각 작품별로 애도의 단계와 순서가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죽음과 상실을 다룬 내방가사 작품은 애도의 다섯 단계가 모두 분명하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대체적으로 이승과 저승으로 분리된 세계를 인정하고, 상실을 수용하고 망자가 부재하는 세계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상기하는 단계로 나아가고 있었다. 또한 상실을 수용하고 자신의 역할을 상기하는 애도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모든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가족 공동체의 일원으로 자신의 역할을 찾고 재정립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세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mourning by targeting the works of Naebang-gasa, which deal with the death of a family member. When faced with the death of a loved one, everyone goes through a period of denial of reality. Finally, accepting and acknowledging death and loss. The process of mourning begins with the denial of death and ends with acceptance of the loss. This study divided the mourning process into five stages and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The act of creating Naebang-gasa is itself a mourning process. The process and stages of mourning are a way of composing a work, and at the same time, this process reflects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artist. Nebang-gasa has the function of autobiographical writing to reveal and express one's feelings and emotions. As a result, the artist who faces the death of his family goes through a psychological process of mourning, while 'expressing' this through gasa creation. ‘Expression’ is a practical action that goes beyo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 this sense, the act of expressing condolences while creating Naebang-gasa is very important. The reason is that the act of creation itself is an active mourning process. Chapter 3 discussed the aspects of the mourning process and its characteristics.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object of mourning and the work, the mourning process was partially expanded or reduced. Second, the work was mainly described in a way that recreated and evoked memories with the dec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