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의 전력 생산과 소비는 상당한 수준의 공간적 불일치를 경험하고 있다. 늘어나는 전력 소비에 대처하기 위해 건설된 대형발전소는 일부 지역에 집중되었고, 이는 생산과 소비 지역간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전력의 생산과 소비의 공간성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시군구 스케일로 확장하여, 발전설비의 분포와 변화를 추적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공간적 불일치의 완화와 새로운 불일치의 형성을 보여준다. 첫째, 지난 10년 동안 시도 단위의 발전설비의 격차가 감소하였지만, 시군구 단위에서는 여전히 집중이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 발전설비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화력과 원자력발전소는 여전히 25개 시군구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화력과 원자력발전의 공간적 집중에도 불구하고 전력을 거의 생산하지 않던 시군구에서 전력생산설비가 증가하였다. 이는 대체로 태양광발전을 위주로 한 신재생에너지의 확산에 기인하고 있다. 셋째, 지난 10년간 발전설비 증가의 주요 원인을 분류해보면, 화력, 열병합, 원자력, 태양광, 여러 발전설비의 복합 등으로 구분해볼 수 있으며, 대다수의 시군구는 태양광 설비 증가가 전력설비 증가의 주 요인이었다. 넷째, 이러한 태양광발전 설비의 증가는 공간적으로 균일하지 않고 일부 지방에 집중되어 있다.


Korea's electricity production and consumption are experiencing a considerable level of spatial mismatch. Large power plants were concentrated in a few regions to cope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electricity, resulting in a spatial mismatch between the area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order to examine the spatialities of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lectricity,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on and change in the location of power plants at si/gun/gu scal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multifaceted changes, such as the mitigation of spatial mismatch and the formation of new ones. First, although the disparity i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t the metropolitan scale has decreased over the past 10 years, a large portion of those facilities tends to locate in a small number of si/gun/gu. Thermal and nuclear power plant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70% of Korea's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still concentrated in 25 cities and counties. Second, despite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thermal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creased in many cities and counties, which rarely produced electricity before. This is largely due to the spread of solar power and other green energy. Third, the main causes of the increase i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ver the past decade can be classified into categories of thermal power, combined heat & power, nuclear power, solar power, and the combination of various energy sources. Fourth, the increase in solar power shows a considerable level of spatial inequality, which means that the solar power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a few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