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난 50여년 간 대한민국은 국립공원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을 위하여 다양한 연구와 정책을 적용해왔다. 현재의 국립공원은 제2차 국립공원 타당성 조사기준에 따라 용도지구를 구분함으로써 지구별 특성에 따라 환경친화적으로 관리되어왔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국립공원 용도지구 결정은 기초자료 부족과 과학적인 평가 체계의 미흡으로 자연생태계 보전에 필요한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제3차 국립공원 타당성 조사기준 마련에 필요한 자연생태계 기반한 평가 체계를 개발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가장 먼저, 생태기반평가에 필요한 필수 항목을 개발하고 각 항목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공원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생태기반평가 분류 기준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용도지구를 결정하고 그 결과에 대해 국립공원별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GIS 다기준 의사결정에 의한 생태기반평가 방법을 통해 산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생태기반평가방법은 생태계의 보전 가치 평가에 필수적인 인자들이 고려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Over the past 50 years, South Korea has conducted various studies and applied policies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se of national parks. Currently, national parks in Korea are divided into region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2nd National Park Feasibility Study. They are managed in an environment-friendly wa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trict. Despite these efforts, the districts in the current national park do not fully consider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 conservation of the natural ecosystem due to the lack of basic data and a scientific evaluation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cosystem-based evaluation system needed to prepare the criteria for the 3rd National Park Feasibility Study. First, essential factors necessary for ecosystem-based evaluation were developed and evaluation was quantitatively performed for each factor. Nex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k type, different weights were applied to each park for the ecosystem-based evaluation classification criteria. Finally, new districts within each national park were visually represented on a map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national par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uted through the ecosystem-based evaluation method based on GIS-based multi criteria decision analysis(GIS-MCDA). The ecosystem-based approach propos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cientific and systematic method that considers essential factors for evaluating ecosystem conservation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