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국외에서 자기주도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을 살피기 위해서 영국의 비정규 한국어 학습자 4인에 대하여 심층 면담, 참여 관찰을 통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자들의 동기 및 학습 여건, 자기 조절, 학습 자료 활용과 수업에 대한 요구의 네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취미 목적일지라도 각기 다른 학습을 견인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더해 학습자 개인의 시간, 정신적 여유 여부에 따라 학습 실행이 결정되었다. 학습자들은 외국어를 배우는 데 따른 스트레스 상황을 겪고 또 이를 스스로 극복하고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학습을 지지해주는 공동체의 역할이 나타났다. 또 국외에서 활용 가능한 자료를 학습자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었는데 중급 이상이나 문어에 대해서는 쉽게 접근 가능한 영어로 된 자료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학습자들은 모두 교사의 도움이 절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수업을 시도하였는데, 온라인 사전 녹화된 강좌의 경우 개인화된 설명이나 상호작용을 통한 연습의 부족으로 학습에 한계를 보였다. 개인 수업의 경우 교사에 따라 그 효율이 천차만별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강좌에서 상호작용 기회 보완, 교사의 학습자 진단 및 수업 기획 능력 강화, 온라인으로 접근 가능한 한국어 자료의 확대를 지원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arning process of Korean learners abroad in a self-driven manner.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four non-formal Korean learners in the UK. According to the results, learners experienced the mental stress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nd had to overcome it by themselves; hence, in the process, the role of community-supported learning became important. Learning resources were employed in various way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ack of English material for intermediate or higher and written learning. All the learners required teachers’ help since online courses lacked personalized explanations and practice through interaction. In addition, in individual classes, the efficiency varied depending on the teacher. According to these results, ways to supplement interaction opportunities in online courses, strengthen teachers’ learner diagnosis and class planning skills, and expand online-accessible Korean language materials a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