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온라인 <국어> 수업에 나타난 변명하기 전략 실천의 양상과 그에 대한 참여자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수업대화에 나타난 학습자들의 변명 유형으로는 첫째, 과제의 규준과 상황 간 연결의 약화를 통해 책임을 회피하는 ‘변명 단념하기’, 둘째, 과제의 규준과 자신의 정체성 간 연결의 약화를 통해 책임을 회피하는 ‘기만적 변명하기’, 셋째,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외부 환경에 원인을 돌림으로써 학습자의 ‘정체성과 과제 간 연결의 약화’를 통해 책임을 회피하는 변명하기가 나타났다. 교사는 전반적으로 변명하기 행위를 수용하고 학습자의 주장을 신뢰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동료 학습자는 침묵하거나 적극적으로 교사-학습자 상호작용에 개입하여 진위를 추궁하기도 하였다. 이 사례를 통해 도출한 교육적 시사점은 첫째, 변명하기는 학습자들이 느끼는 학업성취에 대한 부담감을 반영하는 부적응적 행동이며, 사회적 관계를 고려하지 못한 자기중심적 상호작용 방식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교육적 처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변명하기는 학습자가 자기 자신은 물론 교사와 동료 학습자를 청중으로 두고 실천하는 역동적인 상호작용이며, 변명 주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뿐만 아니라 청중의 역할이 중요하며 변명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이나 징벌적 훈육보다는 교실 참여자가 함께 이를 성찰과 학습의 기회로 통합하고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This study discu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xcuse-making by analyzing the excuse-making practiced in online Korean language art classes. The types of excuse-making strategies were as follows. First, as a passive response to the failure to perform a task, 'give-up excuses' were used to avoid responsibility by weakening the connection between Prescriptions(P) and Event(E). Second, as an active response to the failure to perform a task, a 'deception excuse' was used to avoid responsibility by weakening the connection between Prescriptions(P) and Identity(I). Third, to buy time as a response to the failure to submit a task, responsibility was avoided by weakening the connection between Identity(I) and Event(E) by attributing the caus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beyond their control.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cuse-making can be seen as an egotistical interaction method that fails to consider social relationships, and requires educational treatment. Second, excuse-making can be regarded as a dynamic interactive phenomenon, and classroom participants need to integrate and reconstruct this process into reflection and learning opportunities rather than unconditional acceptance of excuses or punitive discip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