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류드밀라 페트루솁스카야의 『진짜 동화』에 수록된 단편 가운데 「코 아가 씨」를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페트루솁스카야는 기존에 「코」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바 있 는 동화를 「코 아가씨」라는 제목으로 바꾸어 다시 발표하는데, 새롭게 바뀐 제목 「코 아 가씨」는 제목의 유사한 어결합 양상, 코가 큰 주인공의 등장, 마법적 모티프의 사용 등에서 빌헬름 하우프의 『난쟁이 코』와 상호텍스트적 관계를 형성한다. 본 연구는 두 작품의 비교 를 통해 작가가 기존의 동화적 문법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오히려 자신만의 독특한 글쓰기 전략을 바탕으로 새로운 동화를 창작해내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즉 능동적인 여성 주인공 을 전면에 등장시킴으로써 주인공을 서술자에 의해 묘사되는 위치에만 두지 않고 오히려 직 접발화를 통해 서술자의 기능을 대신하게 하며, 마법 이야기 장르를 구성하는 전통적인 요소 들을 활용하면서도 그것을 교묘하게 비틀어낸다는 점이 이를 보여준다. 이러한 마법 이야기 의 ‘다시-쓰기’ 시도는 「코 아가씨」 하나의 작품에서만 머물지 않고, 단편집 『진짜 동화』 전체를 관통하는 작가의 독특한 창작방식으로 확장된다. 이를 통해 ‘동화’라는 장르 속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는 페트루솁스카야의 새로운 작가적 가능성을 주목해볼 수 있 다.


This article aims to uncover Petrushevskaya’s writing strategies of ‘transformation’ and ‘re-writing’ of classics in “The Nose Girl”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short stories True Stories). “The Nose Girl” was originally published in 1991 with the title “The Nose”, and it was re-published in 1997 with an updated title “The Nose Girl.” The new title; however, has a phonetically similar collocation to the fairy tale of Wilhelm Hauff, Dwarf Nose, and it refers to the intertextuality of two tales. Reading “The Nose Girl” while considering the inter-textual relation to Dwarf Nose, we can fi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Dwarf Nose is a classic fairy tale, written by a male writer and in which a male protagonist is featured. On the other hand, “The Nose Girl” is written by a female writer, and features a female character as the protagonist, who takes a more active part in speech and behavior. In addition, Dwarf Nose is well known as a typical magic story, which can be analyzed with the 31 narrative functions in Vladimir Propp’s Morphology of folktale. In contrast, Petrushevskaya’s “The Nose Girl” twists the traditional structure and grammar of magic stories, such as the ‘appearance of a villain,’ ‘provision of a magical agent,’ and a ‘happy ending,’ and creates her own unique plot and story structure.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transformation’ and ‘re-writing’ of classics in “The Nose Girl” is an important example, revealing Petrushevskaya's True Stories as an attempt to create her own unique structure of ‘True’ magic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