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성호학파(星湖學派)에서 정약용(丁若鏞)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정약용은 23세에 『중용강의(中庸講義)』에서 이이(李珥)의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에 손을 들어 준다. 34세에는 「서암강학기(西巖講學記)」에서 ‘이황(李滉)은 이황대로 이이는 이이대로’라고 주장한다. 40세에는 「리발기발변(理發氣發辨) 2」에서 사단칠정론에서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으로 전환(轉換)한다. 정약용이 이렇게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정약용 이전의 성호학파 내부의 사정을 알아야만 한다. 따라서 성호학파 내부의 이익(李瀷), 신후담(愼後聃), 이병휴(李秉休), 안정복(安鼎福) 등의 사단칠정론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사단칠정론을 살펴본 결과 이황이 견해와 이이의 견해를 통합하여야 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사단칠정이 리발(理發)인가 기발(氣發)인가 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사정을 정약용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정약용의 사단칠정은 리발인가 기발인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한 걸음 더 나가 가치론적으로 인심도심론으로 나아가 실천을 중시하게 된다. 정약용이 사단칠정론에서 인심도심론으로 전환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전에 성호학파에서 충분히 논의를 거친 결과이다. 정약용 한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속한 학파에서 어떠한 논의가 있었는지도 알아야만 한다.


In this thesis, the meanings of SadanChiljeonglon(四端七情論) of Jeong Yak-Yong(丁若鏞) in Seongho School were examined. Jeong Yak-Yong agreed to Yi Yi(李珥)’s Chiballiseungildo theory(氣發理乘一途說) in Jungyounggangui(『中庸講義』) at the age of 23. When he was 34 years old, he claimed that ‘Yi Hwang(李滉) was as Yi Hwang and Yi Yi was as Yi Yi’ in “Seoamjanghakki”(「西巖講學記」). At the age of 40, he changed from SadanChiljeonglon to Insimdosimlon(人心道心論) in “Libalkibalbyeon 1”(「理發氣發辨 1」) and “Libalkibalbyeon 2”(「理發氣發辨 2」). Jeong Yak-Yong couldn’t help doing it because of the internal affairs of Seongho School before Jeong Yak-Yong. Accordingly, the SadanChiljeonglon by Yi Yik(李瀷), Shin Hu-Dam(愼後聃), Yi Byeong-Hyu(李秉休), Ahn Jeong-Bok(安鼎福) and others in Seongho School were studied. Their SadanChiljeonglon had it in common that Yi Hwang’s Opinions and Yi Yi’s ones should be integrated. Jeong Yak-yong must have recognized it fully. Therefore, in Jeong Yak-Yong’s SadanChiljeonglon, defining whether Libal(理發) or Chibal(氣發) was right was not important, but, taking a step forward, Insimdosimlon was developed axiologically and practice was regarded as important. Jeong Yak-Yong could shift from SadanChiljeonglon to Insimdosimlon because Seongho School had had enough discussion before. To understand Jeong Yak-Yong, what discussion the school he belonged to had needs to be understood.